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행복을 찾아요
행복을 찾아요23.01.15

중세시대의 계급은 어떻게 나뉘나요?

중세시대에는 귀족의 위치를 아주 대단하게여겼다고 하는데 그런 귀족들사이에서도 계급이 나뉘고 성직자라는 직업에도 계급이있었다하는데 어떻게나뉘는지 가르쳐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세시대 계급중 1계급은 성직자 입니다.

    교황이 최고 였습니다. 왕과 거의 동등한 수준 이었다 합니다.

    제 2계급은 귀족입니다. 귀족중 가장 위가 왕입니다.

    그다음으로 평민 즉 시민 자유민 농노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진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세 봉건제 계급은 이렇다고 보시면 됩니다.


    ​왕 - 나라를 다스리는 군주, 상속이나 혼인 등 동군연합으로 타국의 군주를 겸하기도 하는 경우가 많음.

    제후 - 봉건 영주들로 영지를 가진 신하들을 말함. 최근 로판에서는 오등작 개념으로 공작 - 후작 - 백작 - 자작 - 남작 순서의 계급도를 가짐. 별도의 대공, 변경백 등의 포지션들도 있기도 함.

    기사 - 제후들의 봉신이라고 보면 되는데 땅이 없거나 소규모인 성주로 신하의 신하 포지션이라고 보면 됨.

    농노 - 장원에서 일하는 백성들을 말함. 영주에게 예속된 백성들임. 농민 이외의 수공업자, 대장장이 등도 있는등 포괄적인 범위임

    노예 - 농노보다 더 낮은 그냥 물건 취급의 노동력 제공.

    자유민 - 영주에게 예속되지 않았는데 상대적으로 화전민이나 떠돌이들임.



  • 안녕하세요. 이장웅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세시대 계급도를 간단히 살펴보자면 먼저 왕을 시작으로 제후와 기사가 있습니다. 이 세 계급은 주종관계입니다.

    기사 밑에는 농노 계급이 존재했는데 기사와 농노는 지배예속 관계였습니다.

    이외에 농노보다 낮은 노예가 있었고 영주에게 예속되지 않은 화전민, 떠돌이들인 자유민이 존재했습니다.

    신관은 별도로 계급이 나누어져 있었는데 가톨릭을 기준으로 교황, 대주교, 주교, 신부 순으로 나뉘었습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