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로고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조그만갈매기201
조그만갈매기20123.04.04

미국과 유럽의 대규모 글로벌 은행들이 파산하거나 파산위기에 직면하는 이유가 뭔가요?

최근 들어 실리콘밸리은행 과 크레디스위스 등등
굵직한 글로벌 은행들이 속속 파산하고 다른 은행들도 파산위기에 직면한 상황인데
어떠한 이유로 이렇게 된건가요?
크레디 스위스 은행은 무려 150년 가까이 이어온 은행인데...
이러한 글로벌 은행들 파산으로 인한 국내 경제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각 은행들의 파산에 대한 내용들을 정리하게 되면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미국의 SVB파산은 다음과 같은 일련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습니다.

    • 미 연준의 급격한 금리 인상

    • 안전자산으로 매입하였던 채권의 가치 하락 (거래가격의 하락)

    • 실리콘밸리의 주 거래 기업들인 벤처기업들 및 IT기업들의 유동성 하락

    • 해당 기업들의 유동성 하락에 따른 예금 예치 감소 및 자금 사용 증가에 따른 예금인출 증가

    • 기업들의 예금인출을 위해서 보유중이던 채권의 매도 (대출채권 회수는 만기전에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채권을 매도)

    • 채권의 만기전 매도로 인하여 채권 손실로 인한 은행의 손실 규모 확대

    • 실리콘밸리 내의 펀드회사가 이 내용을 SNS에 알리면서 예금자보호금액인 25만달러 이하 금액으로만 유지하라고 함

    • 많은 기업들이 한번에 자금 인출을 하려고 시도 (뱅크런사태)

    • 예금부족으로 인한 파산

    그리고 15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크레디트스위스 은행의 파산설 나오게 되었던 이유는 CS은행이 과거 2021년도에 그린실캐피털과 아케고스캐피털에 대한 투자실패로 인해서 커지게 되었습니다. 당시 각 회사들에 대한 투자손실금액은 약 10조원과 20조원으로 모두 합하여 약 30조원의 손실이 발생하였습니다. 특히나 아케고스캐피털의 경우는 월가 역사상 가장 최단기간에 벌어진 최다 손실 사건으로 기네스에까지 등재되기도 했는데, 이 회사의 손실은 선물투자로 인해서 단 2일만에 200억달러의 손실이 발생하였습니다.

    이러한 손실들이 누적되면서 CS는 2022년도부터 파산설이 불거져나오기 시작했고 2022도 중반부터는 고객들이 예치자산을 인출하기 시작하면서 2022년도 4분기 기준으로만 1100억 스위스 프랑이 인출되었습니다. 이로 인해서 CS또한 뱅크런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파산설이 돌았으나 지금은 UBS에 인수합병되어 위기를 넘긴 상황입니다.

    다만 외국 은행들의 파산 원인을 보게 된다면 모두 '수익성'의 악화로 인해서 발생한 문제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은행들의 경우에는 역대 최고의 이익을 낸 만큼 수익성으로 인해서 파산하게 될 가능성은 낮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부채리스크가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보니 2금융권을 중심으로 PF대출에 대한 부실화가 커진다면 2금융권의 연쇄 도산이 발생할 가능성은 매우 높은 상황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대부분 해외은행들은 투자를 많이 합니다. 부동산, 국채 든 예금을 가지고 투자를 해서 더 큰 수익을 벌죠.

    금리가 낮거나 조금 높을 때는 상관없지만 고물가, 고금리의 경제상황이 안 좋게되면 부작용이 엄청 크게 다가옵니다.

    가장 큰 것은 기업들의 뱅크런사태이죠. 힘들어진 기업들이 하나 둘씩 예금인출을 하게되는데

    이게 은행이 부실하다는 소문이 도는 순간 겉잡을 수 없이 번져 얼마안가 파산에 이르게되는 것입니다.

    우리가 아는 은행들이 다 이렇게 된 것이죠.

    글로벌 은행 파산이면 한국도 뱅크런 사태를 피할 수 없게됩니다.

    그래서 지금 상황이 프레즐 안정화 즉, 물렁한 안정화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언제 다시 악화될지 모르는 상황입니다.

    항상 경제에 주시하시고 뭔가 터졌을 때 빠른 대처를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스위스 은행과 같은 경우에는 투자 실패로 인하여

    유동성이 부족하여 파산한 사례이며

    실리콘 밸리 은행 또한 채권 투자 등에 따른

    유동성이 부족하여 파산한 것이며 이러한 금융위기가

    뇌관이 되어 전세계 은행에 확산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수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금융 위기는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합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대규모 글로벌 은행들이 파산하거나 파산위기에 직면하는 이유 중 주요한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글로벌 은행들은 대출, 투자 및 자산운용 등 다양한 금융활동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고객들에게 대출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대출이 적정한 신용조건과 감사절차를 거치지 않은 경우, 채무자가 상환하지 못하는 신용위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신용위험은 글로벌 은행들이 파산 위기에 직면하게 되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입니다.

    또한, 글로벌 은행들은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자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자산이 미국 주택 시장 등의 금융위기로 인해 가치를 상실하는 경우, 은행들은 부실자산 문제에 직면하게 됩니다. 이는 은행의 안정성을 위협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입니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은행들은 대출 등의 금융활동으로 인해 대규모의 자금을 유동성있게 유지해야 합니다. 그러나 금융위기로 인해 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 유동성 위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은행의 파산은 국내 경제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먼저, 글로벌 은행들이 국내에 지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파산으로 인해 지점 운영이 중단될 경우, 지점에서 일하는 직원들의 일자리가 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은행들은 국내 기업들의 대출, 자금조달 등을 지원합니다. 따라서, 글로벌 은행들의 파산으로 인해 국내 기업들이 자금난에 빠질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국내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이러한 글로벌 은행들의 파산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글로벌 은행들은 국내에서도 많은 자금을 유치하고 대출을 진행하는 등 국내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치에 있으므로, 글로벌 은행들의 파산이 국내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많습니다. 따라서 글로벌 은행들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파산 등 위기상황을 방지하는 것이 경제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실리콘밸리은행과 크레디스위스 등의 은행 파산은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 결과입니다. 이러한 요인으로는 금융위기, 경제 불황, 부실채권 등이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충격도 이러한 은행들의 파산에 영향이 미칠 것으로추정됩니다.

    이러한 글로벌 은행들의 파산이 국내 경제에 미칠 영향은 다소 한정적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글로벌 은행들의 파산으로 인한 금융시장의 불안정성 증가 등이 국내 경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은행들과 금융거래를 하고 있을 경우, 글로벌 은행 파산으로 인해 기업들의 금융 거래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는 기업들이 금융 거래를 다각화하고 안정적인 금융 기관들과의 거래를 늘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SVB은행의 경우 대규모 예금을 채권에 투자하면서 평가손실이 발생하였고, 크레딧스위스는 대규모 파생손실이 발생하였습니다. 이에 해당 은행의 재무 건전성이 흔들리면서 은행 부실 상황이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몇 년 사이 급격히 자산이 증가하였는데요. 많은 자산을 채권에 투자한 것이 하나의 주요 원인이 아닐까 싶습니다. 채권에 투자하고 나서 금리가 급격히 인상함에 따라 채권에 대한 평가손실을 비롯하여 유동성에 문제가 생기게 된 것으로 보입니다. 시스템 리스크로 확산될 지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