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인빈시블진짜임모탈
인빈시블진짜임모탈

호흡이 가파지면 왜 갑자기 그런걸까요?? 입으로 숨쉬는느낌??

성별
남성
나이대
33

안녕하세요^^ 요즘 가끔 호흡이 가파져서 걱정이 되네요. 갑자기 숨이 차고 입으로 숨 쉬는 느낌이 드는 경우가 있는데 이게 왜 그런 걸까요? 운동을 한 것도 아니고 그냥 앉아있다가도 가끔 이렇게 되니까 신경이 쓰여요. 혹시 스트레스나 불안감 때문일 수도 있는 건가요? 아니면 다른 건강 문제일 수도 있을지 궁금해요. 이런 증상이 자주 나타나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도 알고 싶어요. 혹시 비슷한 경험이 있으신 분들이나 조언해주실 분이 있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비만이라 그럴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과도한 스트레스 및 불안에 의해서 뜬금 없이 호흡곤란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호흡기계 또는 순환기계 등의 문제가 있어도 증상을 유발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단은 건강 상의 문제가 아닌 것인지 먼저 확인하고 배제해보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비만한 상태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일단은 내과적으로 괜찮은 것인지 진료 및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갑작스러운 호흡 가빠짐과 입 호흡은 여러 원인에서 비롯될 수 있습니다. 심리적 요인으로는 불안장애나 공황발작이 이런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데, 스트레스 상황에서 과호흡이 발생하면 몸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낮아져 어지러움이나 가슴 두근거림까지 동반될 수 있습니다. 신체적 원인으로는 천식, 만성 폐쇄성 폐질환, 심장 문제, 또는 비만으로 인한 폐 압박 등이 있을 수 있으며, 특히 안정 시에도 증상이 나타난다면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런 증상이 반복된다면 심호흡 훈련이나 복식호흡법을 시도해보고, 규칙적인 운동으로 심폐 기능을 개선하는 것이 도움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증상이 심하거나 지속적이라면 반드시 의사의 진찰을 받아보셔야 합니다. 특히 가슴 통증, 심한 어지러움, 실신 등이 동반된다면 즉시 의료 도움을 구하시길 권장합니다. 정확한 원인을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갑자기 호흡이 가빠지고 입으로 숨 쉬는 느낌이 드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나 불안감으로 인한 과호흡 증후군이 대표적이며, 이 경우 교감신경이 활성화되어 호흡이 빨라지고 얕아집니다. 복식 호흡이나 근육 이완법, 명상, 요가 등이 불안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비만이 있으면 복부 지방이 횡격막 움직임을 제한해 폐 확장이 어려워지고 이로 인해 호흡곤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비만은 심장과 폐 기능에도 부담을 주어 숨이 차는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특정 자세에서 증상이 더 심해질 수 있으니 체중 감량과 규칙적인 운동, 건강한 식습관이 필요합니다.

    만약 증상이 자주 나타나거나 심하다면 병원에서 정확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특별한 운동 없이 가만히 있을 때도 갑작스러운 호흡곤란, 입으로 숨 쉬는 느낌이 드는 증상은 생각보다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스트레스나 불안장애에서도 호흡이 가빠지거나 숨을 얕게 쉬게 되는 과호흡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호흡이 잘 안 되는 느낌 때문에 입으로 숨을 몰아쉬게 되는 경우도 흔합니다.

    하지만 비만이 있다면 체중 증가로 인해 횡격막이 올라가거나 폐활량이 줄어드는 것도 원인이 될 수 있어요. 이 경우 특히 누워 있을 때 숨차거나, 조금만 움직여도 숨이 차는 양상으로 나타나기도 하죠. 또한 드물지만 심장 문제나 폐 관련 질환(천식, 폐쇄성 폐질환 등)도 배제할 수는 없기 때문에, 증상이 반복되거나 악화된다면 심장, 폐 기능에 대한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우선 대처법으로는 증상이 나타날 때 호흡을 천천히, 복식호흡으로 가다듬는 연습을 해보는 게 좋고, 평소에는 스트레스를 줄이고, 체중을 점진적으로 감량하며, 운동을 조금씩 늘리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그래도 증상이 자주 반복되면 심장내과나 호흡기내과 진료를 꼭 받아보시는 걸 권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