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비범한나무늘보
비범한나무늘보

도넛은 왜 중간에 구멍이 있는 원모양일까요?

우리가 도넛이라 하면 일반적으로 떠오르는 그 모양

중간에 구멍이 뚫려 있는 원 모양.. 왜 그런걸까요?

혹시 이 모양에도 과학적인 원리가 숨어있나요?

전문가님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건강한갈매기154
      건강한갈매기154

      안녕하세요. 진병기 과학전문가입니다.
      이 분야는 제 전문 분야는 아니지만.. 인터넷 검색을 해보니 이유가 나오네요..

      - 구멍이 뚫리게 된 유래

      도넛은 네덜란드의 올리코엑(olykoek, 기름진 케이크)이라는 빵이
      19세기 미국에 전해져 정착한 것을 그 기원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 빵은 밀가루를 둥글게 빚어

      견과류나 과일을 채워 기름에 튀기는 음식으로
      겉은 바삭하게 익으나 속은 촉촉 혹은

      덜 익은 경우가 발생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는데요

       

      따라서, 가운데 부분이 덜 익었을 경우

      이를 도려내고 먹는 불편함이 있었죠

      19세기 미국의 해군 출신인 핸슨 그레고리는 선장으로서
      항해를 떠날때면 올리코엑을 가지고 나가 선원들과 먹었는데요

      긴 항해기간동안 보관이 편하고,
      견과류/과일 덕분에 괴혈병과 감기 예방에도 좋았기 때문이었죠

       

      핸슨은 항해 중 키를 잡고 있을 때에도 어머니가 만들어주신
      올리코엑이 먹고 싶어 어머니께 빵의 가운데 부분을 뚫어
      키에 꽂아 둘 수 있도록 요청했고,

      이것이 '아메리칸 도넛'의 시작이라는 설이 있습니다

       

      또 다른 기원설은 구두쇠였던 핸슨이
      빵을 선원들에게 나누어 줄 때, 원가를 절감하고 설 익은 부분은
      선원들에게 주기 위해 후추통으로

      가운데 부분만 줬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정확한 배경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빵의 가운데에 구멍을 뚫은 것은
      한센의 아이디어라는 것에는 이견이 없다고 해요

       

      이것이 상업화/대량생산화 되면서
      오늘날 우리가 즐기는 도넛의 전형적인 모습이 갖춰졌다고 합니다

      - 과학적 원리

      도넛의 구멍은 단순히
      모양이나 편의성만을 위한 것은 아닌데요

       

      가운데 구멍이 있으면 빵의 외부 뿐만 아니라
      가운데 부분 역시 열에 노출되기에
      빵의 겉과 속 모두가 잘 익을 수 있게 된답니다
      (쉽게 말해 노출표면이 보다 넓어지는 것이죠)

       

      또한, 구멍을 통해 반죽사이로 공기가 통하면서
      수분을 머금지 않고 빨리 증발시켜
      더욱 바삭하고 균형잡힌 모양으로 익을 수 있게 해준답니다

       

      출처: https://www.finelfc.com/873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운데에 구멍이 있으면 겉과 내부가 동시에 적절히 익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옛날에는 가운데 구멍을 통해 이 부분을 끼워서 보관을 하곤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도넛 구멍이 생긴 이유는 도넛 중앙까지 잘 익게 하기 위해서 반지 모양으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구멍이 없는 반죽을 튀길경우 부풀어 올라 모양 잡기가 어려워서 구멍을 만들었다는 설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형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도넛의 중간의 구멍은 단순히

      모양이나 편의성만을 위한 것은 아니라

      가운데 구멍으로 인해 빵의 외부 뿐만 아니라 가운데 부분 까지 열에 노출되기때문에 빵의 겉과 속 모두가 잘 익을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입니다.


      또한, 구멍을 통해 반죽사이로 공기가 통하면서 수분을 머금지 않고 빨리 증발시켜

      더욱 바삭하고 균형잡힌 모양으로 익을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바랍니다.

    • 도넛이 처음부터 가운데가 뚫린 것은 아닙니다.

      19세기 해군 출신인 핸슨 그레고리가 도넛이 설익어서 가운데를 뚫은 것이 원조라고 합니다.

      가운데가 뚫리면서 기름에 튀겨지는 표면이 늘어나기 때문에 맛있게 익혀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