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보름달빵단팥빵
보름달빵단팥빵23.10.16

요즘 결혼식 축의금 논란이 많은데요. 직접가면 얼마의 축의금이 적당할까요?

아는직장동료의 자녀가 결혼을 한다고 청첩장을 보내왔네요. 직접 결혼식에 참석해서 축하해 줄려고 하는데 가면 부폐식사도 대접받을것 같은데 축의금 얼마가 적당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통한직박구리32입니다.

    개인적으로 그냥 아는 지인 기준 참석시 식사비 포함해서 10만원

    미참석시 5만원 하고 있네요.


  • 안녕하세요. 착한의자위헬리콥터82입니다. 결혼식에 혼자 참석한다고 하면 10만원정도 금액이면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겸손한하늘소17입니다. 혼자 갔을때 친분이 있다면 10만원 그렇지않은 동료라면 5만원만 내시면 충분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용한참새179입니다.결혼식 직접가서 축하해주면 좋죠. 비용이 들어서문제인것이죠. 친하면 10만원 안친하면 5만원. 요즘 밥값도 많이 올랐다고하니 7만원 괜찮아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멋진 손자 이쁜손녀 할머니임~입니다. 직장동료면 예식장에 참석을 하신다면 적어도10 만원을 하셔야될거예요~


  • 안녕하세요. 아하하는 호동왕자입니다.

    아는 직장동료의 자녀 결혼식에 직접 가시는 거면 10만원이면 적당할듯 합니다.

    뷔페 비용도 있으니....


  • 안녕하세요. 질문이답변을 만날때 지식플러스입니다. 10만원 정도 하면 될거 같네요. 사람들은 자꾸 밥값만 이야기 하는데 하객들의 인건비나 시간비용 교통비는 왜 생각 안하고 그런 욕심을 부리는지 모르겠어요..


  • 안녕하세요. 늙은오리와함께춤을119입니다.

    혼자 축하러 가시고 10만원 내시면 될거 같습니다

    가족이 함께 가면 눈치가 보일 상황이니 혼자 가세요


  • 안녕하세요. 모르는게 없는 고박사입니다.


    직장동료의 자녀가 결혼한다면


    그직장동료가 친하다면 20


    아니라면 5~8이 적당하다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영앤리치입니다.

    개인적인 친분이 아닌 단순 직장동료의 자녀 결혼식이라면 적게는 5만원, 많게는 10만원까지가 적정범위라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