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1일 근로자의 날 유래가 궁금합니다.
역사적우로 뭔가 있을거 같아서 여기에 올려봅니다.
5월 1일이 근로자의 날이라고 해서 웬만하면 다 쉬는데...
이 날의 역사적인 유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근로자의 날 유래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근로자의 날(메이데이,May Day)은 1886년 5월 1일 8시간 노동제 쟁취 및 유혈탄압을 가한 경찰에 대항하여 투쟁한 미국 노동자들을 기념하기 위해, 1889년 7월 세계 여러 국가의 노동운동 지도자들이 모여 결성한 제2인터내셔널 창립대회에서 결정된 날이라고 합니다.
당시 미국의 노동자들은 열악한 노동환경과 적은 보수에 시달리고 있었습니다. 이에 1884년 미국의 각 노동단체는 8시간 노동 실현을 위한 총파업을 결의하고 1886년 5월 1일을 제1차 시위의 날로 정하였습니다.우리나라 정부는 1958년부터 대한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의 전신) 창립일인 3월 10일을 노동절로 정해 행사를 치러오다, 1963년 노동법 개정 과정에서 그 명칭을 '근로자의 날'로 바꾸어 기념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다 1964년에는 미국처럼 5월 1일을 '법의 날'로 정하기도 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근로자의 날은 매년 5월 1일입니다. 이날의 유래는 1886년 5월 1일 미국 시카고에서 있었던 “헤이마켓 사건”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당시 노동자들이 8시간 노동제를 요구하며 파업을 벌였고, 경찰이 발포하여 노동자들이 희생당했습니다.
이후 이날을 기리기 위해 1889년 파리에서 열린 제2인터네셔널 창립대회에서 '국제 노동자의 날'에 해당하는 기념일로 정해졌습니다. 우리나라는 1958년에 대한노동총연맹 창립일인 3월 10일을 ‘노동절’로 정했으며, 1963년에는 '근로자의 날’로 이름을 바꾸었습니다. 이것이 1973년에 제정되었으며, 이후 1994년부터 다시 5월 1일을 근로자의 날로 기념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노종절의 역사는 프랑스혁명 100주년이었던 1889년 7월, 파리에서 창립된 제2 인터내셔날 창립 대회에서는 8시간 노동 쟁취를 위해 투쟁했던 미국 노동자의 투쟁을 전세계로 확산시키기 위해 5월 1일을 세계 노동절로 결정하고, 1890년 5월 1일을 기해 모든 나라, 모든 도시에서 8시간 노동의 확립을 요구하는 국제적 시위를 조직하기로 결의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식민지 시절인 1923년 조선노동총연맹의 주도로 첫 메이데이 기념식을 가진 이후 일제의 탄압에도 이날을 계속 기념하고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