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아임유얼마더
아임유얼마더22.12.13

아이 분리수면.. 뭐부터 시작해야 하나요?

엄마가 옆에 있어야지만 침대로 올라오는 아이입니다.

같은 침대에서 자다보니 아이도 저도 수면의 질이 너무 떨어지더라고요. 그래서 분리수면을 시도해보려고 합니다.

아이가 자다가도 제가 옆에 있는지 확인할 때가 있어요. 제가 없으면 바로 일어나 엄마를 찾습니다. 엄마가 옆에 있는 느낌이 들어야 안심이 되는지..

분리수면.. 뭐부터 시도해봐야 할까요? 참고로 아이는 3세(25개월)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분리수면에는 시기가 있습니다.

    우선 부모와 애착관계가 형성되기 전인 6개월 전에 시도할 수 있고

    그 시기를 놓친다면 만3세 이후에 분리수면을 시도해야 합니다.

    만3세 정도가 되야 아이가 분리수면에 대해 이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선 아이의 방을 만들어주는것이 좋으며

    그 방에 익숙하게 만드는것이 좋습니다

    그런뒤 아이와 처음에는 같이 누워있고 나오고 하면서 아침에 혼자 눈뜨게 해주는것이 좋으며

    이러한 과정을 꾸준히 하면서 자면서 점차 멀어지는연습을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혼자 스스로 자는 것도 연습해야 한다고

    알려주시고 아이가 좋아할만한 스타일로 방을 꾸며주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아니면 아이가 좋아할만한 캐릭터 이불 등을 분리된 침대에

    배치하여 주시는 것도 좋으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최주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같은 침대 다른 이불 덮기부터 시작합니다.

    그 다음에는 같은 방 다른 침대 붙여놓고 쓰기, 당장 침대 마련할 여건이 안되면 같은 거실에서 다른 이불 깔고 자기를 연습합니다.

    그 다음에는 침대 조금씩 떨어뜨러놓기, 또는 한 사람은 거실 쇼파에서 한 사람은 거실 바닥에서 자기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의 성향과 기질에 따라 분리수면 시기가 정해집니다.

    이른 나이에 분리수면이 되는 아이들의 경우가 있어 초등학교를 진학하였음에도

    분리수면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분리수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의 의지입니다. 아이가 스스로 준비가 되었을 때 분리수면을 해주시는

    것이 아이 심적 안정에 도움이 되니 어려우더라도 조금 더 함께 수면을 해주시는 것을 권합니다.

    수면의 질이 너무 떨어져 힘이 드는 경우 아이가 잘때까지만 함께 수면하시고 바닥에 매트리스를 준비하여 한방에서 따로

    잠을 자보는 것은 어떨까요.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분리수면은 아이가 아무것도 모를 때, 생후, 3개월 이전에는 가능하며,

    지금 시기에는 절대 떨어지지 않으려고 할 겁니다.

    초등학교에 들어가게 되면, 자신의 방에서 숙제도 해야 하고, 준비물도 챙겨야 해서 자신의 방에서

    활동하는 시간이 많아집니다

    이 때부터 자연스럽게 잠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유아 분리 수면, 본인들이 침대와 침구 다 고르라고 선택지를 주고,

    아이 맘에 들도록 방을 꾸며주도록 하세요. 또, 무슨일이 생겼을 때 부모가 항상 옆에 있다라는 사실을

    인지 시키고, 무서운 것이 아닌 것을 인지시켜 주도록 하세요.

    또, 수면등 구매하시는 거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