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상담과 보험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1.정신과를 다녀오면 몇년은 보험가입이 어렵다는데 보험가입이 어려운 기준이 궁금합니다
약처방 몇일 이상이라던지? 좀구체적으로 궁금해요
2.정신과가서 상담받고 약처방 받을건데 지금 실비 보험 가입되어 있는거에는 지장이 없는건가요?
정신과는 처음가는거라 궁금하네요 ㅠㅠ
답변해주시면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남현아 보험전문가입니다.
7일이상 통원은 5년이내 고지를 해야 합니다.
30일 이상 약처방도 5년이내 고지를 해야 합니다.
한번 통원으로는 3개월이 지난 뒤에 무고지로 가입이 가능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정신과 상담 후 7일 이상 통원하거나 30일 이상 약 처방이 5년 이내에 있으면 보험 가입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약 복용 기간이 길거나 반복되면 인수 거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3개월이내 진찰이나 약 처방시 또는 5년 이내 7일 이상 통원, 30일 이상 약처방력이 있다면 보험가입 어려울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아하 커뮤니티 지식 파트너사 시그널플래너입니다.
정신과 약 복용이 혈관계 질환과 관계 있는 점
자살을 시도할 위험이 있다는 점
병에 대한 인식이 낮아 치료를 잘 받지 않아서 병 악화 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 등으로
보험회사는 인수거절을 할 수 있습니다.가입하신 실비의 년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2016년 이후 가입 실손이면 청구가능할 수 있습니다.
급여 부분만 실비청구 가능합니다.
실손 해당 보험사 고객센터 문의 하시면 좀더 정확한 답변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영업전화가 없는 채팅 보험상담 앱, 시그널플래너에서 답변 드렸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정신과를 방문하게 되면 30일치 이상의 약을 복용하게 되면 5년이내에는 고지사항이라 그렇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진오 보험전문가입니다.
우선 단순히 정신과 진료를 받았다고 해서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고지를 해야 하는 것은 30일 이상 약을 복용할 때입니다.
마지막으로 정신과 약은 비급여에 해당하면 처리가 안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