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젠틀한오리너구리
젠틀한오리너구리

국제무역에서 보호무역주의가 다시 드러나고 있는데 자국산업의 보호무역 현황은 어떻게 되나요?

국제무역에서 보호무역주의가 다시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각국 정부는 어떤 정책을 통해 자국의 산업을 보호하고 있나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국제 무역에서 보호무역주의가 다시 대두되는 상황에서 각국 정부는 자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는 주로 수입 규제, 보조금 제공, 산업 지원 프로그램 등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많은 국가들이 특정 제품에 대한 관세를 인상하여 외국 제품의 수입을 줄이려 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 대규모 관세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도와 인도네시아와 같은 나라들은 수입 면허, 인증 절차, 품질 기준을 강화하여 외국 제품의 시장 진입을 어렵게 만드는 비관세 장벽을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각국 정부는 또한 자국 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보조금을 지급하거나 세제 혜택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기업들이 경쟁력을 유지하고 생산을 국내로 이전하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자국 내 기업 유치를 위해 직접 투자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많은 기업들이 미국 내 생산 시설을 확장하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에는 각국이 부품 및 소재의 국산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해외 의존도를 줄이고 자국 내에서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코로나19로 인한 물리적인 통상 활동의 어려움 속에서 디지털 무역이 활성화되었으며, 이는 새로운 무역 형태로 자리잡아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또한, 일부 국가는 보호무역주의를 완화하기 위해 다자간 무역 협정을 통해 협력하고 있으며, 이는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통해 보다 공정한 무역 환경을 조성하려는 노력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보호무역주의 정책들은 자국 산업을 보호하는 데 기여하지만, 동시에 국제 무역의 흐름을 저해하고 글로벌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각국 정부는 이러한 균형을 고려하여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보호무역주의는 현재 미국, EU, 중국 등 국제적으로 영향력을 가진 국가들에 대하여 나타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미구과 중국은 무역분쟁중이며, EU는 디지털세 도입을 통하여 미국의 다국적 기업들에게 세금을 부과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은 빈부격차가 점점 심해지는 현재 상황에서 계속 유지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국제 무역 환경이 보호무역주의로 기울면서 각국 정부는 자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붕괴, 미중 무역 갈등 심화, 지정학적 리스크 증가 등이 보호무역주의 부활의 주요 배경입니다. 국가들은 필수 물품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자국 생산을 장려하고, 관세 장벽을 높이며 기술 경쟁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각국 정부는 관세 부과, 비관세 장벽 강화, 보조금 지급, 국산 제품 우선 구매, 외국인 투자 규제, 전략 산업 육성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자국 산업을 보호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국내 산업의 가격 경쟁력을 높이고, 해외 기업과의 경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도록 돕습니다. 또한, 특정 산업의 기술 자립도를 높이고,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보호무역주의는 단기적으로 자국 산업을 보호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세계 무역량 감소, 물가 상승, 혁신 저해, 국제 갈등 심화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각국은 자국 산업 보호와 함께 자유 무역의 원칙을 존중하고, 국제 협력을 통해 글로벌 공급망을 안정화시키는 노력을 병행해야 합니다. 이는 세계 경제 성장과 소비자 후생을 증대시키는 데 필수적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