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소총탄으로 1km 떨어진 곳에 강철판을 뚫었다고 합니다.
소총탄으로 1km 떨어진 곳에 강철판을 뚫었다고 합니다.
어떻게 그렇게 되는지 어떤 과학적 원리가 숨어 있는지 궁금합니다.
정말 대단한 것 같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소총의 일반적인 유효사거리는 600미터정도로 알려져있지만, 각도를 조금더 위로한채 쏘면 1키로미터까지는 크게 차이가없이 총알이 힘을 가지고 날아갈 수 있습니다.
파괴력과 정밀성은 600미터에 비해 떨어질 수 있긴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소총탄은 발사체인 총알과 발사화약이 결합된 형태입니다. 발사화약이 폭발력을 발생시켜 총알을 압력 속에서 발사하면, 총알은 역력과 마찰을 이기고 앞으로 나아갑니다. 운동량은 질량과 속도의 곱으로 나타내며, 보존의 법칙에 따라 시스템 내에서 운동량의 총량은 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소총탄이 발사될 때 발사체인 총알은 높은 속도와 에너지를 얻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총알은 속도와 질량의 조합으로 에너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에너지는 총알이 강철판과 충돌할 때 전달됩니다. 충돌 시에는 에너지의 일부가 강철판을 통해 전달되며, 충돌하는 총알과 강철판 사이의 에너지 전달로 인해 강철판에 변형이나 파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소총탄이 1km 거리에서 강철판을 뚫는 것은 운동량 보존, 운동 에너지 변환, 압력 집중, 강철 강도 등 과학적 원리에 기인한 현상입니다. 대단한 결과로, 정확한 조준과 충분한 에너지로 가능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