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인을 통한 각성 원리 질문드립니다.
커피나 홍차 등을 마시면 각성이 되면서 집중력이 높아집니다. 이처럼 카페인을 섭취함으로써 각성할 수 있는 원이는 무엇인지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카페인은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인 도파민 분비량도 늘리는데요, 도파민은 필로폰과 같은 마약처럼 신경을 자극하는 물질입니다. 또한 카페인은 수용체가 아데노신과 결합하지 못하도록 해 졸음을 느끼지 못하도록 하고 신경을 깨워 우리를 각성시킵니다. 이때 카페인의 작용 기전에 대해서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아데노신'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하는데요, 우리가 활동을 하면 피로가 쌓이면서 뇌에서 아데노신을 생성하는데요, 이 아데노신은 세포막에 존재하는 특정 수용체에 결합하여 신경세포의 활동을 둔화시켜 졸음을 유발하고, 자는 동안 혈액 공급을 하기 위해 혈관을 팽창시킵니다. 그런데 카페인은 아데노신과 매우 유사한 화학구조를 가지고 있는 물질인데요, 카페인을 섭취할 경우 아데노신 수용체에 아데노신 대신에 카페인이 결합하게 되고, 이 경우 아데노신의 작용과는 반대로 혈관을 수축시키고 혈압을 높여 혈당을 분비하게 하여 근육을 자극하고, 졸음을 쫒고 각성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우리 몸은 체내에서 아데노신이 늘어날 경우 피로를 느끼게 됩니다.
아데노신이 신경세포에 있는 아데노신 수용체에 결합하면 신경세포의 활동이 둔화되며 졸음을 느끼고 혈관이 팽창되는 등 휴식을 취하기 위한 상태가 됩니다.
카페인의 경우 아데노신과 유사한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아데노신이 수용체에 결합하는 부위가 유사하여 아데노신 수용체에 카페인이 대신 결합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아데노신이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방해하여 졸음같은 피로감을 느끼지 못하게 됩니다.
또한 카페인이 아데노신 수용체에 결합할 뿐 아니라 도파민 같은 호르몬 분비를 촉진하여 각성상태를 유지하게 합니다.
다만 이는 피로를 잘 느끼지 못하게 할 뿐 몸이 실제로 회복된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몸은 아데노신의 작용을 잘 느끼지 못한다고 판단하여 신경세포에서 아데노신 수용체를 늘리게 됩니다.
그래서 이전과 동일하게 효과를 보려면 더 많은 카페인이 필요합니다.
이런 이유로 카페인을 갑자기 끊게 되면 일정 기간동안 뇌의 활동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시간이 지나 아데노신 수용체의 수가 줄어들면서 정상적인 수준으로 돌아옵니다.
카페인은 뇌에서 졸음을 유발하는 아데노신이라는 물질의 작용을 방해하여 각성 효과를 일으킵니다. 아데노신은 뇌의 활동을 억제하고 졸음을 유발하는데, 카페인은 아데노신과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아데노신 수용체에 결합하여 아데노신의 작용을 막습니다. 이로 인해 뇌는 깨어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각성 효과와 함께 집중력 향상을 경험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카페인을 섭취하면 각성이 되면서 집중력이 높아지는 이유는 주로 뇌의 신경전달물질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카페인은 아데노신 수용체를 차단하여 아데노신의 작용을 억제합니다. 아데노신은 뇌에서 졸음과 피로를 유도하는 물질이기 때문에, 카페인이 이를 차단하면 각성 상태가 유지되고 집중력이 향상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카페인은 뇌에서 아데노신 수용체에 결합하여 졸음을 유발하는 아데노신의 작용을 억제합니다. 그 결과, 신경 활동이 증가하고 각성 상태가 유지되며 집중력이 높아지게 되는거죠.
안녕하세요. 백찬양 전문가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원리는 아데노신 수용체를 막는 것입니다. 아데노신은 피로감을 느끼게 해주는 물질로 뇌에서 작용을 하게 되는데 카페인이 이를 막음으로써 각성효과를 갖게되는 것이지요.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카페인은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 분비량을 늘립니다. 도파민은 신경을 자극하는 물질이며 카페인은 수용체가 아데노신이랑 결합하지 못 하도록 하고 신경을 깨웁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
특정 약물이나 영양소만 뇌의 특수한 장벽(B.B.B)을 통과할 수 있는데, 카페인은 이 뇌를 통과할 수 있는 성분 중 하나입니다. 카페인이 뇌를 통과해 특정 수용체에 결합하게 되면, 도파민 분비량이 늘어나 신체가 순간적으로 각성하게 되며, 이 작용은 카페인의 양에 비례해 더 커지게 됩니다. 또 코르티솔과 같은 스트레스성 호르몬을 분비하는 데도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체내 염증반응을 둔화시켜 신체가 좀 더 말똥한 상태가 되는 데 기여하지요. 다만, 이들은 모두 카페인의 보조, 부작용으로 카페인의 주 작용은 혈관수축이므로 너무 과량의 카페인을 많이 마시게 되면 혈관이 좁아져 현기증을 느끼게 될 수 있습니다.
커피나 홍차 등에 함유된 카페인은 우리 뇌의 특정 수용체에 작용하여 각성 효과를 나타냅니다.
우리 뇌는 활동할수록 아데노신이라는 물질을 생성합니다. 아데노신은 뇌의 활동을 억제하고 졸음을 유발하는 신경전달물질이죠.
카페인은 아데노신과 구조가 비슷하여 아데노신 수용체에 달라붙습니다. 하지만 카페인은 아데노신과 달리 뇌 활동을 억제하지 않고 오히려 흥분시키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카페인은 뇌의 보상 시스템과 관련된 도파민 분비를 촉진합니다. 도파민은 기분을 좋게 하고 집중력을 높이는 신경전달물질입니다.
또한 카페인은 노르에피네프린 분비도 촉진합니다. 노르에피네프린은 교감신경계를 활성화시켜 심박수를 높이고 혈압을 상승시키는 등 각성 상태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즉, 카페인은 뇌의 억제 신호를 차단하고 흥분 신호를 증폭시켜 각성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