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인상 예금금리가 왜 안오를까요?
미국은 금리인상으로 우리나라와 1.5가량 차이가 나는걸로 알고있는데 이러면 해외로 달러가 빠저나갈텐데 국내는 왜 금리인상을 안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달러환율의 변동성을 결정하는 것은 한미간의 기준금리 격차가 맞으나 여기서 중요한 것은 '현재의 금리격차'가 아니라 '앞으로 발생하게 될 금리격차'에 의해서 환율이 변동한다는 것입니다.
일례로 우리나라가 2월에 금리를 동결하고 미국의 경우는 3월 23일에 금리를 0.25%인상하였는데,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한 당일날 오히려 달러환율은 30원이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이렇게 달러환율이 하락한 이유는 금리인상 발표 직후 연준의장인 파월이 기자와의 질의시간에서 연준은 앞으로 한차례의 금리인상을 마지막으로 금리수준을 5.1%(점도표기준)으로 연말까지 유지를 할 것이라는 이야기를 하였기 때문입니다.
즉,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의 한계는 5.1%가 되면서 향후 우리나라와 미국간의 기준금리 격차는 아무리 심화되더라도 1.75%범위 내에서 움직이게 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오히려 달러환율이 하락하게 된것입니다.
그렇기에 5월 4일에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더라도 이는 이미 달러환율의 상승에 반영이 된 것이기에 추가적인 환율의 변동성은 제한될 것으로 보이며, 달러환율은 당분간 미 연준이 다시금 빠르게 금리를 인상하거나 혹은 정점금리 수준을 5.25%가 아니라 더 높은 금리로 제시하지 않는 이상은 1,300원초반에서 1,300원 중반 사이에서 횡보를 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내는 부동산이나 자영업자들의 대출이 너무 많기 때문에 금리를 더이상 올릴 수는 업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한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은 올렸으나 국내는 기준금리를 안올렸습니다.
미국이 금리를 올린게 인플레이션 영향도 있어서 금리때문에 투자자산을 옮기더라도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미국달러가치의 하락 -> 원화가치의 상대적 상승으로 환율이 하락하면 해당 금리차이가 의미가 없어집니다.
원래도 환율이란 존재때문에 국가별 금리차이는 1차원적으로 접근하면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