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신랄한잠자리148
신랄한잠자리148

원심 분리기 실험에 관한 질문입니다!

혈액이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간이 원심분리기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그러나 실험 도중 혈액을 채운 모세관을 잃어버리는 바람에 20분동안 혈액이 상온에 있었습니다. 이 실수로 인해 실험이 실패한 것인가요? 아니라면 어떤 다른 이유로 실패한 것인지에 대한 의견을 알려주세요.

혈액이 혈장과 혈구는 어떻게 해서 분리가 되는 것이고, 각각의 역할 무엇인가요?

저희가 실험한 결과인데 원래 피에서 노란색이 보이는 것이 맞을까요?

아니라면 혹시 노란색이 나온 이유가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실험 도중 20분간 상온 노출이라면 실험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혈액은 상온에 노출될수록 응고가 빠르게 진행되며, 응고된 혈액은 원심분리 시 혈장과 혈구가 제대로 분리되지 않고 덩어리져 버릴 수 있습니다.

    또한 적혈구와 백혈구 등 혈구 세포는 상온에 오래 노출될 경우 손상되거나 파괴될 수 있습니다. 이는 혈액 성분 분석 결과에 오류를 가져올 수 있죠.

    특히 혈액은 온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성분 변화가 일어날 수 있으며 효소 작용 등 생화학적 반응에 영향을 미쳐 실험 결과를 신뢰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따라서, 모세관 분실로 인한 상온 노출은 실험 실패의 가장 큰 원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혈액을 원심분리하면 밀도 차이에 따라 혈장과 혈구가 분리됩니다. 밀도가 작은 혈장이 위쪽에, 밀도가 큰 혈구가 아래쪽에 위치하게 됩니다.

    혈장은 혈액의 액체 성분으로, 물, 단백질, 전해질 등 다양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혈액을 통해 영양분, 호르몬, 노폐물 등을 운반하고, 체온 조절, 혈액량 조절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혈구는 혈액의 세포 성분으로,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구성됩니다.적혈구: 헤모글로빈을 함유하여 산소를 운반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백혈구는 면역 체계의 일부로, 외부 침입자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혈소판은 혈액 응고에 관여하여 출혈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원래 혈액은 붉은색을 띠며, 노란색을 띠는 것은 정상적인 현상이 아닙니다.

    노란색 혈액이 나왔다면 과도한 지방을 섭취 후 채혈하면 혈장에 지방 성분이 많아져 노란색을 띨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간 질환이 있을 경우 빌리루빈이라는 색소 물질이 증가하여 혈액이 노랗게 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적혈구가 파괴되어 헤모글로빈이 혈액 속으로 방출되면 혈액이 붉은색에서 갈색 또는 노란색으로 변할 수도 있죠.

    만일 이 모든게 아니라면 채혈 과정에서 오염물질이 혼입되거나, 시약에 문제가 있을 경우 혈액의 색깔이 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