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에 이물질 들어간 후 재채기하면 다시 나오나요?
먼지가 많은 곳에서 육안으로 보이는 큰 먼지덩이가 코속으로 들어가 컥컥 거리곤 했는데
조깅할때 벌레도간혹 코속으로 들어가기도 하구요 재재기하면 밖으로 다시 나오나요?
안녕하세요.
물론 별로 큰문제가 없다면 폐로 들어가지 않고 다시 나오게됩니다.
하지만 폐에 이물이 들어갈때 재채기한다고 다시 나오지는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은영 의사입니다.
재채기와 같은 반사반응으로 의식이 있는 정상인의 경우 벌레가 폐로 들어갈 수는 없겠고 상기도로 이물질이 들어온 경우 재채기나 기침으로 제거됩니다.
궁금증 해소에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재채기가 아니고 기침을 하는겁니다.
보통 정상 성인은 기도로 음식이나 침이 넘어간다면 기침반사가 일어납니다.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재채기 및 가래 등을 통해서 먼지 등은 자연 배출이 될 수 있습니다.
벌레에 대해서는 배출이 자연적으로 안될 수도 있으며, 이런 경우 체내에서 효소 등에 의해 자연 분해가 되거나 너무 클 경우는 체내에 남아 있을 수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기도에는 이물질이 들어갈 경우 심한 기침 반응으로 인해 대부분 이물질이 제거됩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제거가 어려운 경우에는 기도내에서 염증을 만들거나 기관지 일부를 막아 무기폐를 만들기도 하므로 이물질이 들어갔다면 어떠한 식으로는 몸에 이상을 느끼거나 제거를 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
기도를 넘어가기 전이라면 재채기를 통해 나오기 수월하지만 이미 폐로 들어가버린 이후로는 잘 나오기가 어렵습니다.
흡인성 폐렴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재채기나 기침은 기관지로 들어간 이물질을 밖으로 빼내기 위한 방어작용입니다.
이 방어작용에 의해서 대부분 배출이 됩니다. 코에는 콧털이 있어서 먼지나 벌레가 더 안쪽까지 들어가지 않게 막아주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기침 및 재채기는 항원 및 이물을 기도에서 제거해주는 우리 몸의 방어기전입니다. 다만 기관 및 기관지까지의 이물은 제거가 되지만 폐까지 들어간 이물은 쉽게 제거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코 점막에 자극을 주는 이물질들은 코털과 분비물에 의해서 걸러지고 재채기를 통해 배출됩니다. 호흡기 점막을 자극하는 이물질은 가래와 기침을 통해 배출되구요.
안녕하세요. 김창윤 의사입니다.
해당하는 경우는 폐로 들어가진 않고, 코나 내려가는 동안 걸러져 재채기로 내뱉어지거나 다른 것으로 배출되거나 혹은 아예 먹게 되거나 합니다.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오현수 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이 재채기나 가래 등을 통해 이물질들을 밀어올리면서 제거하게 됩니다.
구슬 등의 이물질이 기도로 들어가 나오지 않는 상황을 제외하곤요..이 경우 기관지 내시경으로 제거하게 되며, 단순 먼지 등이라면 너무 큰 걱정 안하셔도 될것드로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었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