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놀이 이미지
놀이육아
놀이 이미지
놀이육아
당당한그늘나비143
당당한그늘나비14322.01.07

아이가 뭐든지 우는걸로 해결하려고 해요

자기 마음에 들지 않으면

무엇이든지 우는 행위로 해결하려고해요.

머리를 감는게 싫다거나

자신이 보던 핸드폰을 다 보지 못하게 한다거나

놀고 싶은데 놀지 못하게 한다거나

놀고 싶은데 자야 한다고 하거나 할때

등등 자신이 원하는걸 못하게 할때 반대되는 행위를 하게 할때 무엇이든지 우는 걸로만 해결하려고만 합니다 어떻게 하면 고칠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아이에게울음은자신을표현하는언어입니다

    우리 아이의 연령이 어떻게 되는지 모르겠지만 3살 기준에서 이야기를 하자면 세살쯤 되는아이들은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참을 수 있기때문에 울 때도 괜히 울지는 않습니다.

    애정이 결핍된 아이도 잘 우는데, 이런 경우에는부모님께서 사랑을 듬뿍 주는게 중요합니다

    툭 하면 울 때는무엇 때문에 우는지 정확히 아는것이 중요합니다.

    의존심이 강한 아이는 잘못을 했을 경우 혼날까봐서 울기도하고,욕구가 강한 아이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울기도 합니다.

    아이의 우는 원인이 합리적인것이 아니면 울더라도 짜증을내거나 달래지 말고 무관심한태도를취하세요.

    울음이모든 걸 해결해주는 요술방망이가되어서는안됩니다.

    잠시동안혼자 놔뒀다가 아이의 감정이 가라앉으면왜우는지그이유를아이가설명하도록하는것이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찬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 입니다.

    아이들은 성장할수록 자기 주장과 생각이 자리 잡기 때문에

    원하고 갖고 싶은 것들에 집착하는 버릇이 많아요.

    때문에 하고 싶은 일만 하려 하고 하기 싫은 일은 절대적으로 부정하는 것이고요

    거기에서 오는 분노와 화를 우는 것으로 표현하고 표출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육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와의 커뮤니케이션입니다.

    대화를 통해서 아이를 안정 시켜 주시고,

    왜 그 일을 해야 하는지 아이의 눈 높이에 맞게 적절히 비유하여 이해 시켜 주시고,

    반복하여 아이와 많은 대화를 나눠 주세요.

    아이가 들으려 안하고 힘드시겠지만,

    결국 시간이 지나면 아이는 변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감정이나 의사를 표현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하고싶은 말이 있거나 원하는게 있으면 먼저 웁니다.

    말로 이야기헸을때 안들어 주다가 울면서 요구하니 들어준 경험이 잦은 아이는 부모를 이길 방법이 우는걸로 생각합니다. 관심에서도 마찬가지구요.

    무작정 울지말라고 하는것은 아이의 우는 행동이 심리적 요구에 있기에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자신의 생각을 말로 표현할 수 있게 도와주고, 아이가 사랑받는다는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많은 관심을 보여주세요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무조건 안돼! 보다는 아이를 감정적으로 소통할 필요가 있습니다

    나쁜 행동을 한다면 왜 그런행동을 하는지를 살피실 필요가 있고 해당되는 이유가 있다면 그 이유를 해결하기위해 도와줄 필요도 있습니다

    무조건 오냐오냐 하는 것도 안좋다만 무조건 혼내는 것도 좋지 않기때문에 아이와의 소통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