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23.11.13

빛을 쐬어도 아무런 반발력을 못 느끼는 이유가 뭘까요?

빛도 에너지인데요.

빛이 세상에서 제일 빠른데 우리는 왜 빛을 쐬어도 이상이 안 생기는 건가요?

빛의 속도로 빛한테 우리 몸이 맞는 건데 아무런 반발력을 못 느끼는 이유가 뭘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은 전자기파로써 진행 방향과 진폭이 직교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빛은 우리 몸의 원자나 분자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충돌을 필요로하지 않습니다. 빛이 우리 몸을 통과할 때 우리 몸의 입자들과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하지 않기 때문에 반발력을 느끼지 않습니다.빛의 에너지는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양입니다. 빛은 매우 높은 주파수를 가지고 있지만, 각 빛 입자(광자)의 에너지는 매우 낮습니다. 이 때문에 우리 몸에 빛이 닿아도 충분한 에너지를 전달받지 못하며, 우리는 반발력을 느끼지 않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13

    안녕하세요. 김형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너무 입자가 작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어느 정도로 작냐면 원자핵보다도 더 작아서 원자를 통과해도 원자핵과 대부분 충돌하지 않고 그냥 지나쳐가는 빛이 대부분이라고 합니다.


    물체가 다른 물체에 부딪혀서 충격력을 가지려면 질량도 어느 정도 커야 하는데 질량이 너무 작아버리니 속도가 아무리 커도 의미가 없어지게 되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은 에너지이지만, 빛의 양이 적다면 우리 몸에 해를 끼치지 않습니다. 태양빛을 예로 들어보면, 태양빛은 지구에 도달하기까지 약 8분의 시간이 걸립니다. 이 동안 태양빛은 우주의 먼지와 가스와 충돌하면서 에너지를 잃게 됩니다. 따라서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빛은 우리 몸에 해를 끼치지 않을 정도의 적은 에너지만 가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은 질량이 없는 물질입니다 질량이 있는 우리가 이 에너지를 느끼기 위해서는 질량 에너지를 받아야 하는데 빛은 질량이 없기 때문에 빛을 받아도 뒤로 밀리는 느낌을 받지 않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