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식 매수 매도할때 환율 환전 질문
예를 들어 원/달러 1000원으로 환전후 주식을 매수 이후 매도해도 환차손익은 원으로 환전하기 전에는 발생하지 않는것으로 압니다
보통 D+2가 지나고 거래 대금이 계좌로 달러로 들어오는데 이 금액은 차익에 대한 금액만 들어오나요?(수수료 고려X) EX) 10만원 매수해서 5만원 이득이면 딱 15만원만 들어오는거죠? 환차손익은 반영되지 않고
언제가는 원화로 환전을 해야하는데 그동안 주식을 매수매도하고 쌓인 예수금이 달러로 있을텐데 여러 종목들을 매수했을때 환율이 다 달라서 나중에 원화로 환전할때 이것의 평균 환율을 계산해서 환차손익을 계산할려면 어려울것 같은데 어떻게 하는지? EX) A종목 원/달러 1000원으로 환전후 매수 매도 B종목 원/달러 1500원 환전후 매수 매도 이후 몇개월뒤 원화로 환전할려는데 이것이 나중에 환차손익 중 무엇이 발생하는지 어떻게 아나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 주식 매수, 매도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금액 자체는 달러로 거래가 되기에 환전하지 않는 이상 환차손익이 발생하지 않고
여러 번 걸쳐서 거래가 되더라도 환차손익 등은 제가 알기로는 증권사에서
자동으로 보여줄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해외주식의 경우 주식 매도 후 2영업일 후 달러로 예수금을 받게 됩니다. 대부분 증권사의 달러 예수금의 환전 시 환율은 결제일 오전 9시 5분 기준 전신환 매수환율 등이 적용됩니다.
해외 주식 매수 시 진행한 환율과 예수금 환전 시 차이의 환차손은 예수금을 모두 환전 시 적용 환율에 영향을 받게 됩니다. 즉, 해당 주식의 상승과 하락에 따른 손익을 제외하면 가능한데 복잡하니 매수 시 환전 환율과 매수 시 환율을 비교하면 쉽게 환차손 계산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