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20

리만브라더스 사태는 어떤 건가요?

오래전 세계경제의 큰 타격을 준 리만브라더스 사태는 어떠한 사건이었나요?

기업들이 도산하고 세계경제에 엄청난 타격을 줬다고 하는데 개략적인 설명

부탁드립니다. ㅎ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전중진 경제전문가blue-check
    전중진 경제전문가23.01.20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4대 투자은행 중 하나였던 리먼 브라더스가 2008년 9월 15일 뉴욕 남부법원에 파산보호를

    신청하면서 글로벌 금융위기의 시작이 되었습니다.

    당시의 부채 규모는 6130억 달러였으며 서브프라임 모기지 상품의 부실과 파생상품 등의 손실로

    시작되었으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리먼 사태'라고도 합니다. 글로벌 4위 투자은행이었던 리먼 브러더스와 5위 투자은행 베어스턴스가 파산하면서 글로벌 금융위기를 초래한 트리거가 되었던 사건이며, 이로 인해 2008년 9월 ~ 2009년 3월까지 금융위기가 극에 달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008년도에 발생한 리만브라더스 사태는 '2008년 금융위기' 혹은 '2008년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라고 부르는데, 당시의 경제위기의 발단은 '서브프라임 모기지'라는 상품으로 인해서 만들어진 결과물로 과정과 결과에 대해서 말씀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미국의 저금리 통화정책

    2. 증시 및 주택시장의 활성화

    3. 주택시장의 활성화에 따라 저신용자에 대한 주택대출상품 등장(서브프라임 모기지대출)

    4. 주택담보채권(저당권)에 대한 증권화 (MBS)

    5. 미국의 금리인상 단행 (1%->5.25%까지 상승)

    6. 저신용자들의 이자상환이 불가능해지며, 주택대출(서브프라임대출)의 부실화 속출

    7. 집 값의 하락 가속화

    8. 집 값 하락에 따라 CDO(부채담보부증권) 손실 및 MBS의 원금 손실 발생

    9. 금융기관의 부실화 (베어스턴스에서 리먼브라더스로 더 큰 기관으로 부실화)

    10. 투자은행들(IB은행)의 붕괴 [리만브라더스 (세계4위 투자은행)의 파산]

    결국 리만브라더스 사태는 미국이 지금처럼 빠르게 금리를 올리기 시작하면서 저신용자들이 받았던 '서브프라임 모기지'상품이 부실화되면서 발생한 위기였습니다. 이 금융위기를 더욱 크게 키운 것은 금융사들의 욕심으로 만들어진 CDO와 같은 상품들로서, 이러한 상품들이 저금리 상품의 부실화의 여파를 금융권 전체로 이전시키는 결과를 만들었기 때문으로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난 2007~2008년 사이 미국에서 발생하여 확대된 글로벌 금융 위기의 확산과 정점에 당시 90년 전통의 투자은행 리만브라더스 파산이 있었습니다.

    금융 위기의 원인을 제공한 서브프라임 모기지 관련 파생상품을 상당히 많이 가지고 있었고 해당 파생상품의 지급 불능리 벌어지자 파산에 이르렀는데 막판에 한국의 산업은행의 인수가 최종 무산 되자 바로 파산 처리 되었습니다.

    이상 간략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