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사주 매입을 하면 소각돼서 없어지나요?
가끔씩 뉴스를 보면
어떤 회사는 주주 가치를 올려 주기 위해서
자사주를 매입을 하는데요
이때 자사주를 매입하면
주식 개수가 그만큼 없어지는 건가요 아니면
그 회사가 보유하는 주식 수만 늘어나고
전체 주식수는 변화가 없는건가요?
자사주 매입은 기업이 자기 회사의 주식을 다시 사들이는 행위입니다. 이는 두 가지 주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첫 번째 방식은 소각하지 않고 보유하는 것입니다. 이 경우, 기업이 보유하는 주식 수는 늘어나지만 전체 주식 수는 변화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하면 유통 주식 수가 줄어들게 되어 주식 가격을 안정화하거나 주가를 방어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업은 이러한 자사주를 직원 보상이나 인수합병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주식 수가 줄어들면 배당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되어 배당 성향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방식은 자사주를 소각하는 것입니다. 주식을 소각하면 전체 주식 수가 감소하게 되어 주당 가치가 상승합니다. 이는 주가 상승과 주당 순이익(EPS) 증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주주에게 이익을 줄 수 있습니다. 주식 시장에서는 자사주 매입이 주로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여지며, 이는 주가 상승과 주주가치 제고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자사주는 매입하면 소각하는게 일반적이고 미국에서는 자사주를 매입하면 소각하는게 일반적으로 이루어집니다
국내에서는 자사주 매입이 자본조정 항목으로 들어가며 이익소각을 원칙으로 하는 제도는 폐지되어 매입한다고 해서 소각의 의무는 없습니다
자사주매입이라는 과정이 있고 추후 자사주의 처분도 이사회의 결의를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즉 자사주를 소각까지 이사회에서 결정을 해야 소각이 가능하며 단순히 자사주 매입을 하면 기업이 자사주를 보유하다가 언제든 이사회결의로 시장에 처분이 가능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사주 매입과 소각은 별개의 과정으로, 자사주를 매입한다고 해서 자동으로 소각되는 것은 아닙니다. 자사주 매입은 회사가 자사의 주식을 매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 경우 유통 주식 수는 줄어들지만 전체 발행주식 수에는 변화가 없고, 매입된 주식은 회사가 보유하게 됩니다. 반면, 자사주 소각은 회사가 보유한 자사주를 완전히 없애는 과정을 의미하며, 이로 인해 전체 발행주식 수가 감소합니다. 따라서 자사주 매입만으로는 전체 주식 수가 줄어들지 않고, 단지 회사가 보유하는 주식 수만 증가하게 되며 전체 발행주식 수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주주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사주 매입 후 소각이 이루어져야 하며, 소각을 통해 발행주식 수가 감소하면 주당순이익(EPS)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어 "기업이 할 수 있는 주주가치 제고의 절정"이라고 평가받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자사주 매입과 소각은 명확히 구분되는 과정이며, 진정한 의미의 주주 환원 정책은 매입 후 소각까지 이어질 때 완성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회사에서 자사주를 매입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매입 한 주식량만큼 소각이 됩니다. 보통 이를 우리는 "자사주매입소각"이라고 한번에 부르기도 합니다.
그러하기 때문에 전체 시장에서 유통되는 주식량이 줄어 드는 효과가 발생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 드립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사주 매입이란 회사가 자사의 주식을 시장에서 사들여 자사의 보유 주식 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사주를 매입하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효과가 있습니다.
시장 유통 주식 수 감소: 회사가 자사주를 매입하면, 시장에서 거래되는 주식의 수가 줄어듭니다.
이는 회사가 매입한 주식을 자사 주식으로 보유하거나 소각하기 때문입니다.
전체 주식 수 변화: 자사주 매입 후, 자사주를 보유한 경우 전체 발행 주식 수에는 변화가 없지만, 자사주 매입 후 해당 주식을 소각하면 전체 발행 주식 수가 줄어듭니다.
따라서 자사주를 매입할 때, 회사가 매입한 주식을 보유만 하거나 소각하면, 전체 유통 주식 수는 줄어듭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사주를 매입을 하는 경우와 매입 후 소각하는 경우로 나뉘는데요.
매입만 하는 경우는 보유하는 주식의 수가 늘어나는 것이고,
이를 보유 후 소각한다면 주식의 수가 줄어들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은 평가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사주 매입은 회사가 자사의 주식을 시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자사주 매입은 회사의 주식 발행 수를 줄이고 주식 시장에서의 주가를 높이는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자사주 매입된 주식은 회사의 자산으로 유지되거나 처분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사주 매입과 소각은 별개의 절차입니다.
흔히 자사주 매입은 주가 상승에 긍정적인 신호가 됩니다.
다만, 사실 자사주를 소각하여 주당 가치가 올라가야 의미가 있는 것이지 매입 그 자체로는 변하는게 아무 것도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사주 매입은 말 그대로 회사가 주식을 회사 소유로 사들이는 것이구요.
이후
경영권 방어차원 보유
가족 승계 등을 위한 증여
자사주 소각
매입 목적 달성후 시장 매도
등 행동을 취할 수 있습니다.
보통 3. 자사주 소각을 많이 취하기 때문에,
자사주 매입 = 소각이라는 인식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두 방법 모두 가능한데요. 자사주를 매입하는 경우 기업이 매입 과정에서 현금을 주주에게 지급하고, 그 대가로 받은 주식을 총발행주식에서 소각하거나 재발행을 위해 자기주식으로 소유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사주 매입을 하면 기업이 해당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전체 주식 수에는
움직임이 없고 동일합니다
기업에서도 투자를 하고 있는 것이라고 보시면됩니다
외국의 경우에는 자사주 매입은 소각을 의미 하지만 우리나라 기업의 경우에는 자사주 매입 후
다시 시장에 매도할 수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상장사들 보면 자사주를 매입 후 소각하는 경우 있고 자사주를 매입 후 소각하지 않고 회사가 보유하고 있다가 주가가 오르면 팔아버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사주를 매입한다고 해서 무조건 소각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자사주를 매입하여, 보관할 수도 있고요. 실적이 좋았을 경우, 자사주를 매각하여, 전체 유통량을 줄여서 투자자들에게 혜택을 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자사주 매입을 하면 소각되서 없어지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닙니다. 자사주 매입이 곧 소각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자사주를 매입해서 소각을 해야지 소각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사주 소각은 주주가치를 제고하기 위해서 미국의 빅테크 회사들이 자주 사용하는 방법으로 주식 자체를 소각시켜버리기 때문에 전체 주식수가 감소하고 유통 주식 물량이 감소해 주주가치가 제고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회사가 자사주를 매입하면 그 주식은 회사의 소유가 됩니다. 주식을 매입한 후에 그 주식을 소각하면, 전체 주식 수가 줄어들어 주주 가치가 올라갑니다. 하지만 소각하지 않고 보유만 하면 전체 주식 수는 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주식을 매입한 후 소각 여부에 따라 전체 주식 수가 줄어들 수도 있고 그대로일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