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기막힌다람쥐80
기막힌다람쥐8023.07.26

피가 났을 때 지혈이 되고 굳어지는건 어떤 작용 때문인가요?

피가 났을 때 지혈이 되고 굳어지는건 어떤 작용 때문인가요? 피가 산소와 만나서 반응하는 것 때문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혈우병 환자의 경우에는 상처가 나서 피가나면 조심해야 한다고 하는데 머가 없어서 지혈이 안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 혈액내에는 여러가지 기능을 하는 세포들이 존재하는데 그중에 혈소판이 있습니다.

    혈소판은 피가 날 경우 혈액을 응고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피가 나면 체내의 혈소판이 혈관 벽에 부착되어 혈액응고를 일으키는데, 이를 혈액응고 과정이라고 합니다. 혈액응고 과정에서 혈소판, 혈액응고 인자, 백혈구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상처 부위에서 피가 멈추고 소량의 혈액응고체가 형성됩니다.

    이 혈액응고체는 시간이 지나면 체내의 섬유아세포가 이를 덮어서 고체화시키는데, 이를 혈관 내피 세포와 결합하여 혈관벽을 보강하고 상처 부위를 보호하게 됩니다. 고체화된 혈액응고체를 혈전이라고도 하며, 이 혈전이 피부 위에 굳어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상처가나면 혈관이 수축하며 상처부위로오는 혈류량을 감소시킵니다.

    이후 혈소판과 피브리노겐이 만드는 피브린이 서로엉겨 상처부위를 임시적으로 메꾸고, 파괴된부위의 세포들이 재생되며 회복되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피에는 물외에 다른 성분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적혈구와 백혈구등등이 있습니다.

    지혈의 경우 이 백혈구도 일부 담당을 하고 있으며 혈소판과 혈액응고 인자가 있다고 합니다.

    혈우병은 이 혈액응고인자에 문제가 있어 응고되지 않는 병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피가 났을 때 지혈이 되고 굳어지는 것은 혈액 응고작용 때문입니다. 혈액 응고작용은 혈액이 흘러나오는 것을 막고 상처를 치유하는 데 필요한 일련의 과정입니다.

    혈관이 손상되면 혈관이 수축하여 출혈을 줄입니다. 혈소판은 혈액에 존재하는 세포로, 손상된 혈관에 달라붙어 혈액을 응고시킵니다. 섬유소는 혈액에 존재하는 단백질로, 혈소판이 뭉쳐서 혈전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혈전은 혈관을 막아 출혈을 멈추고 상처를 치유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피가 났을 때 지혈이 되고 굳어지는 것은 혈액응고라는 생리적 반응 때문입니다. 혈액응고는 상처나 손상된 부위에서 혈액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주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피는 혈관을 통해 운반되는데, 혈소판이라는 혈액 세포가 상처 부위로 몰려가고, 상처 부위에서 혈소판들이 일시적으로 부풀어 오르며 덩어리를 만들어낸 후, 혈소판 내부의 물질들이 상처 부위 주변으로 분비됩니다. 이 과정에서 혈소판들끼리 물질들이 상호 작용하면서 피가 응고되고, 혈관이 막히도록 조직이 굳어지게 됩니다.

    혈액응고는 피가 산소와 반응하는 것과는 관련이 있지만, 정확히는 혈소판과 혈액 내의 응고 요소들이 상호 작용하는 과정입니다.

    혈우병 환자는 혈액응고 기능이 저하되어 지혈이 잘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혈우병 환자의 경우 혈소판 수가 부족하거나 혈액 내의 응고 요소들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서 상처가 난 경우에도 지혈이 되지 않거나 지혈이 더디게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혈우병 환자는 상처가 나서 피가 나는 경우에는 빠르게 의료진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심각한 출혈과 관련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피가 났을 때 지혈이 되는 것은 혈소판과 혈액 응고 인자의 작용 때문입니다. 혈소판은 혈관이 손상되면 혈관 벽에 달라붙어 혈전을 형성합니다. 혈액 응고 인자는 혈소판이 혈전으로 뭉치도록 돕고 혈전을 튼튼하게 유지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피가 굳어지는 이유는 혈액 응고라는 과정 때문입니다. 혈액 응고는 부상이나 출혈이 발생했을 때 혈액이 고체로 변하여 상처를 막고 치유를 도와주는 방어 메커니즘입니다.

    혈액은 혈소판, 혈관 내피세포, 응고 인자 등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출혈이 발생하면 혈소판이 상처 부위로 이동하여 혈관을 막고 혈전을 형성합니다. 혈전은 상처 부위를 봉합하고 혈액이 계속해서 흘러나가는 것을 막아줍니다.

    도움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