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화재는 어떻게 일어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전기살비에 궁금증이 많은 사람입니다. 요즘 화재가 많이 일어나는데 그중에 전기화재가 많이 일어난다고 들었습니다. 전기화재는 어떻게 일어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기기사입니다.
전기화재는 보통 전기설비의 과열로 인한 화재가 대부분입니다. 저항이 높거나 누전이 생길시 고열로 이어지는 즉 열에너지로 손실전력이 발생되는거죠.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준연 전기기사입니다.
전기화재 발생원리 이해하는건 매우 중요합니다. 단순 전선이 뜨겁다 불꽃이 튄다가 아닌 전기특성을 잘이해하지 못하고 제어하지 못하면 스파크가 생기고 이것이 가연물에서 부터 점화가 시작되는것입니다.
큰전류가 흐르고 배선굵기가 올바르지 않다면 절연과 피복이 높고 불꽃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누전으로 먼지가 많거나 습기가 있는곳에 스파크가 튀고 이것이 점화가 됩니다. 누전은 누전차단기가 없는곳이나 누전차단기대신 배선용차단기를 설치할 경우 이런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접촉불량일때에도 화재랑 관련이 있습니다. 접촉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저항이 생기고 전선에 열이 발생하고 이로인해 전선이 타고 불꽃이 형성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정훈 전기기사입니다.
전기설비의 화재의 경우 대부분 설비 자체의 문제 또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발생하게 됩니다. 주요 원인을 몇가지 분류해보면 가장 많은 이유는 단락이나 합선입니다. 노후되거나 손상되서 벗겨진 두 개의 전선이 직접 닿으면 순간적으로 큰 전류가 흘러 스파크가 발생하고 화재로 이어지게 됩니다.
두번째로 가장 많은 사례는 과부하/과전류 입니다. 하나의 콘센트에 많은 전기기기가 연결되면 허용전류를 초과하게 되고 많은 전류가 흘러서 전선이 녹거나 과열되어 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세번쨰로 전선이나 전기기구간의 접촉 부분이 헐거워지거나 오염이 되면 저항이 증가하면서 스파크가 발생하고 열이 발생해서 화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임경희 전기기능사입니다.
전기화재가 일어나는 원인은 누전, 과부하, 단락(합선), 정전기 및 스파크, 노후 전기기기, 배터리 열폭주현상, 낙뢰, 부주의 등으로 인한 화재사고가 많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요즘 배터리로 인한 화재가 늘고 있으며 겨울철 노후된 전기기기나 전열기구의 과열로 화재위험이 높아 사용 시 주의해야 합니다. 전기화재는 예고없이 발생되어 재산과 인명피해를 입히고 있어 평소 안전검검을 통해 예방과 점검이 중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하성헌 전기기능사입니다.
전기화재의 경우 과전류로 인한 허용전류이상의 점류가 흘러서 전기선이 녹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이에 대한 화재가 발생한다고 볼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허용전류 이하의 전류가 흐를수 있도록 하는것이 중요하다고 볼수 잇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는 30대 직장인입니다. 화재는 어려가지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상가나 주택에서는 전기화재가 많이 일어나곤 합니다. 전기화재에서 대표적으로 많이 일어나는것은 아크에 의한 화재입니다. 전기에서 누전이나 합선으로 인해서 아크가 발생하는데 주변에 가연성 물질 특히 먼지 등이 많으면 불꽃이 이 물질에 붙어서 화재가 일어납니다.
2명 평가안녕하세요. 안인혁 전기기사입니다.
과부하나 합선으로 전선이 과열되면 피복이 녹고 주변 가연물에 불이 옮겨붙을 수 있습니다
또 접촉 불량으로 생기는 스파크나 누전이 원인이 되기도 하고 노후된 콘센트나 플러그 사용도 큰 위험요소입니다
결국 대부분 관리 소홀이나 노후 설비에서 비롯되기 때문에 정기적인 점검과 차단기 관리가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