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개는 왜 일곱가지 색깔로 보이는 걸까요?
무지개는 왜 일곱가지 색깔로 보이는 걸까요?
원래 7가지 색만 있는 것인지 아니면 사람이 볼 수 있는 색이 7개 밖에 없는지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무지개는 빛의 분산과 굴절에 따라 7가지의 색이 보이게 되는데 이 7가지의 색은 사람의 눈으로 인식가능한 가시광의 여 ㅇ역이라고 이야기 합니다. 햇빛이 빗방울로 들어가게 되면 굴절과 반사 굴절의 과정을 거치게 되면서 나타나게 되는데 햇빛은 본래 백색광으로 여러가지 파장의 빛이 섞여 있는 상태인데 빗방울이 통과하면서 각 파장의 빛이 서로 다른 각도로 굴절되기에 여러 색으로 분리되게 되는것이지요~ 짧은파장의 빛은 더 많이 굴절되고 긴파장의 빛은 덜 굴절되게 되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무지개에서 나타나는 색은 연속적인 스펙트럼이며 아이작뉴턴이 7개의 색을 처음 분류하게 되었따고 합니다. 이 영역은 380nm~700nm사이이며 이외는 자외선, 적외선으로 나누어서 이야기하게 됩니다. 무지개에는 사실상 무한한 색의 스펙트럼이 있습니다. 우리가 일곱 가지 색을 보는 이유는 인간의 눈이 세 가지 광수용체(원추세포)를 통해 색을 구분하기 때문입니다. 원추세포는 주로 빨간색, 녹색, 파란색의 세 가지 기본 색을 인식하며, 이들이 서로 결합해 다양한 색을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우리는 무지개의 색을 일곱 가지로 분류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그 사이에 더 많은 색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