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정중한거미220
정중한거미220

자율신경 검사는 어디서 할수있나요?

성별
남성
나이대
33

자율신경 실조증이 생긴것 같아 제대로된 검사를 좀 받고 싶은데 대학병원급이나 이런곳가야 뇌파검사나 이런거 할수있나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자율신경 실조증을 정확히 진단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일차의료기관에서도 기본적인 검사는 가능하지만, 보다 전문적이고 종합적인 평가를 위해서는 대학병원급 의료기관을 찾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자율신경계 기능 평가를 위해 시행할 수 있는 검사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기립경사테이블검사: 자세 변화에 따른 혈압, 맥박 변화를 평가

    • 발살바수기(Valsalva maneuver): 심혈관계 반사기능 평가

    • 심박변이도 검사(HRV): 자율신경 균형 상태 평가

    • 정량적발한축삭반사검사(QSART): 땀샘의 교감신경 기능 평가

    • 피부전기전도검사: 교감신경 활성도 측정

    뇌파 검사는 뇌전증 등 뇌신경 질환 감별을 위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그 외 혈액검사, 영상의학검사 등도 동반 질환 확인을 위해 시행합니다.

    대학병원 신경과나 내과에 내원하시면 환자분의 증상과 병력에 맞는 검사 계획을 세워 체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을 것입니다.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약물치료, 생활습관 교정 등 적절한 치료 방침을 결정하게 되지요.

  • 대개는 의원급에서 시행하기는 어렵고 상급종합병원에서 검사 시행이 가능합니다.

    .

    자율신경계는 혈압, 맥박, 체온, 소화, 배뇨, 동공 반응 등을 조절하는 시스템입니다. 만일 당뇨 합병증의 일환으로 자율신경계의 조절장애가 발생하면, 기립성 저혈압, 비정상적인 땀 분비, 변비, 설사, 실금, 성기능 장애, 안구건조, 구갈, 시야조절장애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율신경검사는 심호흡 시, 입과 코를 막은 상태로 숨을 내쉬어 배에 힘을 주는 발살바조작 시, 기립 시 혈압과 맥박 등을 측정하여 자율신경 조절장애의 유무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

    편안한 자세에서 누워 있거나 기립한 상태에서, 평범한 호흡을 하거나 발살바를 조작할 때 혈압과 맥박을 측정하여 이상을 관찰합니다.

    .

    검사는 대략 20~30분 정도 소요됩니다.

    .

    검사 전 준비사항

    ① 검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항콜린성약물,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 흥분제, 마약성진통제 등은 의사와 상의하여 중단합니다. ② 검사 당일 스타킹이나 코르셋과 같은 압박성 의류를 착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③ 검사 전 24시간 동안 과격한 운동을 삼가고, 커피나 담배는 3~4시간 전부터 피합니다.

    .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좋아요 버튼을 눌러주시기 바랍니다~

  • 종합병원이나 개인병원 중에도 검사장비를 갖춘 신경과가 있습니다.

    자율신경계는 뇌파검사와는 상관이 없습니다.

    자율신경은 말초신경의 일종이니까요.

  • 안녕하세요. 한의사 성주영입니다.

    자율신경계 검사 또는 스트레스 테스트인 HRV 검사는 한의원, 가정의학과, 신경과 등에서 검사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해당 검사를 통해서 우리 몸이 스트레스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지, 지나치게 긴장하는지 등을 파악하고 교정해볼 수 있습니다.

  • 아무래도 신경계와 관련이 있는 문제인 만큼 관련하여서 진료 및 정밀 검사를 위해서는 신경과에서 실행하는 것이 가장 적절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대학병원급의 큰 병원에 가셔서 적절한 검사를 받아보실 수 있겠지만 대학병원 만이 검사가 가능한 유일한 병원은 아닐 것이며 규모가 있는 종합병원급 신경과에서도 관련된 검사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