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1305852
1305852

최혜국 대우라는게 무엇인가요???

오늘 뉴스를 보니 한국이 미국으로부터 반도체 최혜국 대우를 약속받았다고 대통령실에서 말한것 같은데 최혜국 대우라는게 어떤 대우를 말하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최혜국 대우라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최혜국이란 말 그대로 미국이 외국에 부여하는 관세 등의 조건에 있어서

    가장 좋은 수준의 대우를 해줄 것을 약속한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최혜국 대우라고 하는 것은 특정 국가간에 무역에서의 협상을 통해 정해진 약속을, 제3국에서도 인정을 해주어 적용을 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은 무역에서의 차별을 금지하며, 특정국가와의 거래에서 공정한 거래가 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약속으로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장하는 것이 주요한 목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최혜국 대우가 있다고 하더라도 특정한 몇가지 우대사항들이 있다면 이는 예외사항이 될 수 잇습니다. 가령 개발도상국에 대한 특별우대 혜택이나 fta와 같은 협상이 있었다고 한다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최혜국 대우라는 것이

    어느 외국에 부여하는 가장 유리한 대우를

    특정 국가에도 부여한다고 하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최혜국 대우란 결국 특정 무역 조건을 적용하는 국가들 중에서 가장 좋은 조건을 적용시켜 주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도체 관련 무역 조건에서 차별 없는 공급망 협력을 하고 인플레이션 감축법 혜택을 동일하게 제공해 줄것으로 기대됩니다.

  • ‘어떤 국가에게 제공하는 무역상의 우대 조건을 다른 모든 국가에도 동일하게 적용하겠다’는 원칙을 뜻합니다. 즉, 만약 미국이 특정 국가에 대해 관세를 낮춘다면, 그 수준의 우대를 MFN 지위를 받은 모든 국가에게도 동일하게 제공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미국은 여러 국가에 대해 ‘MFN’ 수준의 관세율을 부여하는 다중 관세 체계를 운영 중입니다. 예를 들어 유럽연합(EU)에는 일반 관세율 기준으로 최저 수준의 관세를 적용하고 있는데, 미국은 이를 다른 국가에도 동일하게 준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통상조약에서 특정 국가에 준 혜택을 제3국에도 동일하게 제공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예를 들어 A국에 낮은 관세율을 부여했다면 MFN조항이 있는 B국에도 동일한 혜택을 주어야 합니다.

    이는 차별없는 무역 환경 조성를 위해 활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최혜국대우(MFN)란 무역에서 특정 국가에만 차등적으로 특혜를 부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들어 미국이 특정 국가에 낮은 관세나 혜택을 제공하면, 우리나라에도 동일한 조건을 적용한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실질적으로 한국은 상호관세가 15%로 낮게부과되었고 이번에 미국이 말하기를 기존관세에서 추가로 15%를 내는것이라면서 일본에서 다소 난리난 상황입니다

    아직 정확한것은 아니지만 여전히 미국의 관세는 잡음이 많은편이며 이과정에서 한국은 매우 낮은 상호관세를 맞았으며 이는 베트남보다도 낮은것입니다 즉 한국에게는 다른국가와 비교시 관세에 대해서 최대한 낮게부과하고 특정 품목에 대해선 관세를 더 낮추거나 보조금이나 인센티브 유인으로 제공하겠다는 의미로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이 한국을 반도체 분야에서 최혜국 대우로 취급한다는 것은 미국이 한국산 반도체에 대해 다른 어떤 나라보다 불리하지 않는 동일한 관세율이나 무역 조건을 적용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즉, 미국이 반도체 수입 관세를 15%로 정하면, 한국도 그 관세율을 부과받고 100%나 200%처럼 늎은 관세를 적용받지 않는다는 약속입니다. 이는 특정 국가에만 차별적 특혜를 주지 않고, 가장 유리한 조건을 한국에도 동일하게 보장하는 무역 원칙의 하나로, 한국 반도체 산업에 유리한 환경을 만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최혜국 대우는 국제 무역에서 특정 국가에게 부여하는 가장 유리한 대우를 다른 모든 교역 상대국에도 동일하게 적용하는 원칙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한 국가가 다른 국가에게 관세 인하와 같은 무역 특혜를 제공하면, 그 혜택은 자동으로 다른 모든 최혜국 대우 상대국에도 똑같이 주어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한국이 A국과 무역 협정을 맺어 A국에서 수입하는 특정 제품의 관세를 10%에서 5%로 낮추었다고 가정했을 때, 한국과 최혜국 대우를 맺은 B국은 별도의 협정 없이도 자동으로 해당 제품에 대해 5%의 낮은 관세를 적용받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최혜국이라는게 최우선 혜택 국가라는 의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반도체 관세 부과하는 국가 중에서 가장 관세 낮게 부과하겠다는 의미로 해석하시면 될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