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미술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김용준은 사상적 경향이 어떻게 바뀌었나요?

안녕하세요? 근원 김용준은 사상적 경향이 바뀐 미술가로 유명하던데요~ 그런 근원 김용준은 사상적 경향이 어떻게 바뀌게 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어제도 질문을 해주신 분 같습니다.

    근원 김용준 선생의 아호인 근원은 가까울 근, 원숭이 원자를 써서 원숭이에 가깝다 는 뜻으로 다른 사람을 따라하기만 한다고 하여 자신을 낮췄던 작가 입니다.

    일본에서 미술을 공부했는데 처음엔 서양화를 배우다 민족성을 지키고 유지해나가기 위해 동양화로 전공을 바꾸었을 정도로 민족의식이 뚜렸했던 작가 입니다.

    한국에 와서도 그림 뿐 아니라 글솜씨도 뛰어나 미술사학자, 이론가, 수필가로써도 한국에서도 많은 업적을 남겼습니다.

    1950년 월북을 한 사건을 가지고 사상이 바뀌었다고 문의를 주신것 같은데 전 북한에 갔던 것 자체로 사상이 바뀌었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

    김용준은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 초반까지 서구 미술의 영향을 크게 받았습니다. 이 시기에 그는 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아 추상화와 형태의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당시 김용준은 형식적이고 이론적인 접근을 중요시했으며, 서구의 추상 미술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가졌습니다. 이러한 초기 작품에서는 서구 미술의 영향 아래, 기하학적이고 절제된 형태를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1960년대 중반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 김용준은 한국적 정체성과 전통에 대한 탐구를 시작했습니다. 그는 서구의 추상적 접근에만 머물지 않고, 한국 전통 미술의 요소와 민속적 이미지들에 대한 관심을 보였습니다. 이 시기에는 전통적인 회화 기법과 한국적인 색채를 혼합하여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구성하는 작품들을 선보였습니다. 특히, 그는 동양화의 사상적 요소와 서양 미술의 기법을 결합하려는 시도를 하였고, 이를 통해 자신의 독특한 미술적 세계관을 형성해 나갔습니다. 김용준은 사상적으로 서구 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으며 시작하였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한국적 요소와 전통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결국 사회적이고 철학적인 사유를 바탕으로 그의 미술적 경향이 변화하였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그가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고, 끊임없이 새로운 미술적 접근과 사상적 탐구를 시도한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김용준의 사상적 경향은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바뀌었다고 할 수가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