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정말평온한푸들
정말평온한푸들

대한민국 교육열은 왜 이렇게 지역마다 세대별로 다를까요

서울은 강남, 대구는 수성구 등 지역에 따라 교육열이 엄청난 지역이 많습니다. 어떤 지역은 학원 한두개만 보내면 애들 교육이 끝인 경우도 있는데 어떤 지역은 하루 종일 일주일 내내 학원을 돌리면서 어른이고 애들이고 고생시키는 경우가 있네요. 그렇게 하면서도 그만두지 못하고 주변에서 하니까 따라하게 되는데 어떻게 하면 이런 현상을 완화할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대한민국의 교육열은 지역과 세대에 따라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이유는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소들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인 이유 중 하나는 지역 경제적 격차입니다. 예를 들어, 서울의 강남구나 대구의 수성구는 상대적으로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가정이 많아 자녀 교육에 더 많은 투자를 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이들 지역에서는 학원과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접근성이 높고, 부모들이 자녀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교육에 많은 관심과 자원을 쏟습니다. 반면, 경제적 여건이 좋지 않은 지역에서는 교육에 대한 투자나 자원 부족으로 학원이나 보충수업에 대한 접근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지역 간 교육열 차이가 발생하고, 특히 서울이나 대도시 지역에서는 경쟁이 심화되어 교육열이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사회적 압박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경쟁적인 학벌 사회에서 자녀의 교육 수준이 부모의 사회적 지위나 자존감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여겨지기 때문에, 일부 지역에서는 더 치열하게 교육에 집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학원이 없는 지역에서는 경쟁이 덜 할 수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같은 목표를 가지고 학습에 집중하는 지역에서는 자녀가 더 많은 교육을 받지 않으면 뒤처질 것이라는 불안감이 커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교육열을 완화하려면, 균형 잡힌 교육 정책과 지역 격차 해소가 중요합니다. 지역에 관계없이 교육 기회의 평등을 보장하고, 학업 외에도 다양한 경험을 중요시하는 문화를 확산시켜야 합니다. 또한, 부모들이 자녀에게 교육을 강요하기보다는 자녀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교육을 찾을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학구열이 지역 마다 다른 이유는

    경제적 차이가 가장 크겠습니다. 또한, 심리적인 요인도 배제할 수 없지요.

    예를 들면 강남에서 사교육 열풍이 유행 이라면 이러한 유행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학부모들로 인해서 아이들의 사교육 열풍은 더 진화될 수밖에 없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사교육은 부모님의 욕심대로 행해여 져서는 안된다 라는 것입니다.

    학습을 하고 안 하고는 아이의 선택적 결정이 중요합니다.

    아이의 의견을 무시하고 배제한 채 부모님의 욕심으로 학습 및 교육을 진행한다면 아이는 스트레스만 받을 뿐이고 교육적 효과는 기대할 순 없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지역의 편차로 볼수있으며

    이러한것을 줄이려면 교육기관의 분산이나 지방이양화가 필요할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해당 지역의 경제적 수준 차이가 달라서 그렇습니다.

    강남이나 목동 같은 곳은 부동산 가격 자체가 비싸고, 벌어 들이는 수익 자체가 높습니다.

    그러다 보니 교육에 대한 인프라도 잘 갖춰져 있고, 들이는 비용 자체도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