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신중한잠자리251
신중한잠자리251

과학적으로 닭이 먼저 인가요? 아니면 달걀이 먼저인가요?

친구들과 예전에 이런 얘기들 한두번씩은 해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닭이 먼저냐? 아니면 달걀이 먼저냐? 과학적으로는 무엇이 먼저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과학적으로만 따진다면 닭이 먼저입니다.

    달걀 껍질을 형성하는 닭의 단백질 '오보클레디딘-17' (OC-17)이란 물질이 가장 중요한데요, 연구 결과 닭 난소에 OC-17이 없으면 달걀은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닭 없이 달걀이 존재할 수 없다는 뜻이 되며, 과학적으로 닭이 먼저라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김채원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상에 조류가 나타나기 이전에는 파충류나 양서류등이 존재했고, 이들역시 알을낳아 번식하였기때문에 닭보다는 알이 먼저 나왔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진화론적으론 어떠한 유기체에서 닭으로 먼저 진화가 있었을테고, 닭이 번식을 통해 알을 낳았을테니 닭이 먼저라고 주장해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동준 과학전문가입니다.

    과학적으로는 진화 이론에 따르면, 닭은 계란에서 태어나게 됩니다. 원시 닭과 비슷한 조상이 변화를 거쳐 닭이 되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계란이 먼저 나왔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찬호 과학전문가입니다.


    과학의 영역일 것 같은 이 문제도 서로 다른 해석과 근거들로 인해 아직까지 명확하게 결론 짓는데 어려움이 있다.


    영국의 두 연구팀 서로 다른 결론에 도출한 것을 소개하겠다. 달걀이 먼저라고 주장한 연구팀에 따르면, "닭의 조상이 낳은 알에서 유전자 변형(진화)이 일어나 최초의 달걀이 됐고 그 알이 부화한 것이 최초의 닭"이라고 소개했다.


    한편 닭이 먼저라고 주장하는 연구팀에 의하면, 닭의 난소 안에 들어있는 오보클레디딘-17 단백질이 탄산칼슘 입자에 달라붙어 결정체 형성에 촉매 역할을 하다가 결정핵이 스스로 자랄 수 있을 만큼 커졌을 때 떨어져 나가는 역할을 하는데 이 때문에 달걀 형성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단백질의 모체인 닭이 달걀에 우선한다고 보았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진화론적으로 닭 이외에도 알을 낳는 파충류와 같은 동물들이 조류가 출현하기 전부터 먼저 존재해왔으므로 알이 먼저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조은 과학전문가입니다.


    사실상, 결론이 나지 않고 갑론을박하고 있는 난제이긴 한데요.

    제 의견은 닭이 먼저라고 생각합니다. 단세포생물부터 시작해서 다세포생물로 진화하면서 먼저 생물이 생성되고 번식조건을 충족함에 따라 알이든 새끼든 태어났다고 생각되거든요. 알만 있었다면 부화될 확률도 닭이 없다는 가정이기에 희박하기도 하구요.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해당건은 보는 관점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닭이 먼저라는 진화론자들이 있는 반면 달걀이 먼저라고 주장하는 과학자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과학적으로 닭이 먼저입니다. 닭이 먼저 존재해야 달걀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달걀은 닭이 낳은 알로, 닭이 먼저 존재해야 달걀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과학적으로는 닭이 먼저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