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와 국내주유소 기름값에 대해 궁금합니다.
현재 국제유가는 두바이유나 크루드오일 브렌트유등 대부분 60불 언저리인데
왜 국내주유소 기름값은 하락하지 않는건가요?
가격 데이터를 찾아보니 대략 15년전에 국제유가가 지금과 비슷한 60불정도이던데
그때 국내 주유소 경유 가격이 1300원대 더라구요.
근데 국제유가는 비슷한데 지금 국내 주유소 경유가격은 1600원대 전후잖아요.
이게 어떻게 된걸까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국제유가가 하락한 상황임에도 국내 주유소 기름값이 내리지 않는 이유는 달러 가치 상승과 세금 때문입니다. 국내 기름값에는 유류세가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정부에서 유류세 인하를 점진적으로 종료하고 있고, 석유를 수입할때 필요한 달러 가치는 상승하면서 국내 주유소 기름값이 내리지 못하고 있습미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국제유가 가격은 떨어졌지만 반대로 환율 가격이 가파르게 올라갔기 떄문입니다。 질문자님의 말씀하신 지적사항은 정확하나 그만큼 환율이 올라간부분을 놓쳐서 그렇습니다。
현재 환율은 금융위기 수준으로 과거 몇년전엔 환율 수준이 1100원대였으며 현재는 1450~1470원대입니다。 즉 유가가 떨어지는 변화율폭만큼 환율 상승폭이 그대로 올라갔기 때문에 국내의 휘발유나 경유가격이 떨어지지않고 계속 비슷한 추세를 유지하고 있는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국내 주유쇼 기름값이 하락하지 않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국제유가가 내려갔어도
안타깝게도 원-달러 환율이 오르기 때문에
기름값은 내려가지 못하는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기름은 달러를 기준으로 거래되는데 15년전과 현재의 환율을 다릅니다.
현재 환율의 급등으로 인해 기름값도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