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점점 개구져지고 말을 듣지 않습니다.
아이가 7살인데 내년 초등학교 입학이 너무 걱정됩니다. 최근에 계속 말을 듣지 않고 제멋대로 행동을 하고 있는데 아무리 제지하고 말을 해도 듣지 않으니 이걸 어떻하나 하는 생각이 들어서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개구쟁이 처럼 말을 듣지 않는 이유는
자금 자신이 한 행동이 무엇이 잘못 된 것인지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함이 큽니다.
제지를 해도 말을 듣지 않는 이유는 부모님의 말 뜻을 이해하지 못함이 커서 입니다.
아이에게는 단호함이 필요로 합니다.
아이가 말을 듣지 않으면 그 즉시 아이의 행동을 제지하고, 아이를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 공간으로 데리고 가서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굵은 목소리로 단호하게 말을 듣지 않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전달한 후, 왜 말을 듣지 않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잘 알려주세요.
아이의 행동이 한 번의 훈육으로 나아지지는 않습니다.
아이의 행동의 변화가 보일 때 까지 매일 밥상머리교육 시간을 통해 반복적으로 알려주면서 아이의 행동을 지도하여
주도록 하세요.
안녕하세요.
7살 무렵은 독립심이 커지고 자기 주장을 강하게 내세우는 시기라서 자연스러운 변화로 볼 수 있습니다.
단호하게 제지하는 것보다는 선택지를 주는 방식으로 아이가 스스로 결정하게 해 보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어서, 지금 놀다가 10분 후에 정리할까, 지금 정리할까 등처럼 말이에요.
규칙을 정할 때는 이유를 설명하고, 지켰을 때는 충분히 칭찬해 주시기 바랍니다.
꾸준한 일관성과 대화로 아이가 안정감을 느끼도록 해 주세요.
내년에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아이가 제멋대로 행동을 해서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초등학교 입학을 앞두고 아이의 변화에 걱정이 많으시겠어요. 7세는 자율성과 독립성이 강해지는 시기로, 부모의 말에 반항하거나 제멋대로 행동하는 모습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꾸짖기보다 아이의 감정을 먼저 이해하고 공감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규칙을 정할 때는 아이와 함께 약속을 만들고, 지켰을 때는 충분히 칭찬해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입학 전에는 학교 생활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감을 심어주고, 일상 속에서 규칙적인 생활 습관을 익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7살 아이가 점점 개구지게 행동하고 말을 잘 듣지 않는다면 부모 입장에서 많이 걱정될수 있습니다. 이 시기는 자율성과 자기주장이 강해지는 시기라 어느정도 자연스러운 현상이기도합니다. 다만 일관된 규칙과 경계, 긍정적 강화가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