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활 엑셀 함수 나이 구할때 YEAR 활용 질문이요!
J1: 기준일이 : 2025-01-02 이고
I3: 960621-123****
년차(나이) 에서 년차는 제외하고 나이에 (33) 이 정답이라고 하는데요.
함수식이 ("&YEAR($J$1)-(1900+LEFT(I3,2))&")"
이라고 하는데요..ㅠ
이해가 안가는부분이 있습니다.
J1에서 연도 2025를 가져와 입력하는것까진 이해했는데요
왜 1900+와 I3의 2면 12가 맞죠? 그럼 1900+12 일텐데
결국 2025-1900 인건가요? 그럼 125일텐데 왜 33이 나오는걸까요?
이게 아니라면 정말 이해가 잘 안갑니다..ㅠㅠ 특히 YEAR($J$1)-(1900+LEFT(I3,2) 이쪽이 왜 33이 나오는지 모르겠어요 ㅠㅠ 영상을봐도 문제를봐도 답을계속봐도 이해가잘안가서 이해되기 쉽게 알려주심 감사하겠습니다 ㅠㅠ
질문자님이 궁금해하시는 부분을 해석해보겠습니다. I3의 값 960621-123****는 1996년 6월 21일에 태어난 사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값을 사용하여 나이를 계산하기 위해 입력된 함수는 19세기의 년수를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LEFT(I3, 2)은 I3의 앞 두 자리를 가져오는데, 이는 96을 의미합니다. 여기에 1900을 더하면 1996이 됩니다.
따라서 식은 YEAR($J$1) - (1900 + LEFT(I3, 2)) 즉, 2025 - 1996을 의미하며 이는 29가 되어야 합니다. 질문자님이 33을 사용하셨다는 점에서 뭔가 오해가 있는 것 같네요! 아마도 실제 기준일과 태어난 해에 따라 다른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만약 특정한 기준일에 대해 맞추려면 J1의 년도와 태어난 년도 간 차이를 정확하게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잘못된 점이 있는지 확인해보셔야 할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엑셀 함수가 YEAR($J$1)-(1900+LEFT(I3,2))에서 YEAR($J$1)은 기준일(2025년)을 사용하고, LEFT(I3, 2)는 주민등록번호의 앞 두 자리를 추출하여 생년을 계산합니다. 예시로, 주민등록번호가 960621이라면 1996년생이 되어 2025 - 1996 = 29가 나옵니다. 33이 나오는 경우는 생일이 아직 지나지 않은 상황으로, 생년이 1991일 때 2025 - 1991 = 34가 나오고, 생일이 지나지 않으면 나이가 33으로 계산이 되네요.
함수식에서 YEAR($J$1)-(1900LEFT(I3,2)) 부분을 보면, LEFT(I3,2)는 I3 셀에 있는 주민등록번호에서 첫 2자리를 가져옵니다. 예를 들어, "960621-123****"에서 LEFT(I3,2)는 "96"을 가져옵니다. 여기서 "96"은 1996년 출생을 의미하며, 따라서 1900(6은 1996년이 됩니다. 2025년에서 1996년을 빼면 29년이 나오고, 생일이 지나지 않았을 경우 나이를 하나 빼서 33세가 되는 것입니다. 1900는 1900년대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이 방식으로 계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