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고매한크낙새25
고매한크낙새25

기초재고대비 기말재고가 늘어나면 매출원가가 감소하는거 잘못된거 아닌가요?

매출원가 = 기초재고 - 기말재고라고 합니다. 그런데 원재료를 더 사서 재고품을 만들었는데 안팔려서, 기초재고는 그대로고 기말재고는 더 늘었다면 매출원가가 줄어드는 이상한 일이 벌어진다고 하는데, 이러면 잘못된 식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매출원가는 생산된 재고 중에서 실제로 판매가 된 제품들의 원가를 얘기합니다. 팔리지 않은 재고들은 기말재고들은 매출원가에서 제외해줘야하며, 해당 재고는 다음회기의 기초재고가 됩니다.

    기말재고가 더 늘어났다는 것은 생산된 재고 대비 판매된 재고가 상대적으로 적었다는 뜻이기 때문에 매출원가가 감소하는 것이 맞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매출이 되어야 재료비가 매출원가로 비용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기초재고가 1만원이 있고 10만원치를 재료를 매입해 상품을 만들었습니다.

    하나도 팔린게 없다면 재고가 기초재고1만원+당기생산분 10만원=11만원으로 자산으로 잡히기에 매출원가 즉 비용이 발생되지 않습니다.

    물건을 어느정도 팔아 10만원의 매출이 나오고 이때 매출원가가 5만원이라면 기말 재고는 6만원이 됩니다.

    재료는 10만원치를 샀지만 물건이 아직 팔리지 않아 매출원가(비용)로 잡지 못하고 재고(자산)로 남게 되기 때문에 매출원가가 줄어든다고 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재료비만 들고 손해가 아닌가 할 수 있지만 나중에 물건이 팔리면 매출원가로 비용처리가 가능해지므로 추후 회수가 가능한 비용인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매출원가의 공식은 [기초재고액 + 당기매입액 - 기말재고액]으로 표시하게 됩니다. 이 상황에서 원재료를 더 매입한다는 것은 당기매입액이 늘어나는 것이며, 기말재고가 더 늘었다는 것은 당기매입액을 통해서 생산품을 늘렸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기초재고는 원상태 그대로인 상화에서 매입한 만큼 재고가 더 쌓였다는 것은 매출원가가 더 증가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에 틀린말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