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쌈박한오릭스46
쌈박한오릭스46

과자 봉지로 스마트폰 터치가 되던데,,,어떤 원리 인가요?

친구하고 피자하고 과자 먹는데 손에 음식이 묻어서 스마트폰을 과자 봉지로 터치 해보니깐 터치가 되드라고요. 과자 봉지로 스마트폰 터치가 되던데,,,어떤 원리 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공정한백로247
      공정한백로247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터치는 정전기 방식을 이용한것입니다. 따라서 이물질이 없는 손가락이어야 합니다. 대신 이 부분을 과자의 은색부분이 대신 해줄 수 있기 때문에 터치가 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과자 봉투는 대개 얇은 금속층이나 전자파 차폐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재료들은 전기 신호를 차단하거나 감쇠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터치 스크린은 전기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으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전기 용량을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손가락의 위치를 감지합니다.


      따라서, 과자 봉투와 같은 전자파 차폐층이 있는 물체를 터치 스크린 패널 위에 놓아도, 손가락으로 가해지는 약한 전기 신호는 전자파 차폐층을 통과하여 패널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약한 전기 신호는 패널의 전기 용량을 변화시켜, 터치 스크린 패널에 적용된 전극 간의 전기 용량을 변화시킵니다. 이 변화된 전기 용량은 컨트롤러 칩에서 실시간으로 감지되어, 손가락의 위치를 계산하고 해당 위치를 터치한 것으로 판단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과자 봉지로 스마트폰 터치가 되는 것은 정확하게는 스마트폰의 전기 용량 감지 기술에 기인합니다.

      스마트폰은 용량성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감지합니다. 이 스크린은 인간의 손이나 전기를 전달하는 물체와 상호작용하여 용량을 변화시키고, 이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스마트폰 스크린의 감지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면, 스크린에는 전극 패턴이 새겨져 있고, 스크린 아래에는 전극패턴을 인식하는 전기적인 용량 감지 장치가 있습니다. 사용자가 스크린을 터치하면, 사용자의 손이나 터치하는 물체가 전극 패턴과 상호작용하여 전극패턴의 용량이 변화합니다. 이 때, 용량 감지 장치가 이 변화를 감지하여, 스크린에 입력된 좌표를 결정합니다.

      과자 봉지로 스마트폰 터치가 되는 것은, 과자 봉지의 금속성분인 알루미늄이 전기를 전달하기 때문입니다. 스마트폰 스크린은 전기를 전달하는 물체와 상호작용하여 용량을 변화시키고 이를 감지하는 원리이기 때문에, 과자 봉지의 알루미늄으로 인해 전기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과자 봉지를 스마트폰 스크린에 대고 터치를 하면, 스크린이 입력 신호를 받아들이는 것처럼 작동하게 되어 과자 봉지를 터치한 것과 같은 효과를 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스마트 기기의 스크린 기능은 대부분 정전식 위주인데, 이 방법은

      정전기 변화를 인식하여 작동합니다. 정전식 스크린이 인식을 하려면

      손끝에서 나오는 전기를 스크린까지 전달해줄수 있는 물질이 있어야 하는데 이것을 과자봉지의 은색 부분이 해주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과자 봉지로 스마트폰 터치가 되는 현상은 전기용량식 터치스크린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전기용량식 터치스크린은 매우 작은 전기 신호를 사용하여 손가락 또는 다른 대상과의 접촉을 감지합니다.

    • 스마트폰의 터치 방식에는 '감압식'과 '정전식'이 있는데요.
      감압식은 표면의 압력을 감지하여 터치한 곳을 알아내는 것을 말하고,
      정전식은 인체에 미세하게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터치한 곳을 알아내는 것을 말합니다.

      초기에는 스마트폰들이 감압식으로 출시되었지만,
      요즘 최신 스마트폰들은 모두 정전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의 기술을 더욱 발전해서 이제는
      정전식 터치 방식에도 터치가 되는 장갑들이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추운 겨울, 정말 고마운 아이템이 아닐 수 없는데요.
      그렇다면 어떻게 터치가 되는 것일까요?
      전도성 섬유는 일반적인 섬유와는 다르게
      전기가 흐를 수 있는 소재입니다.
      전기가 흐를 수 있는 이유는 전도성 실을 사용하기 때문인데요.

      전도성 실은 폴리에스터 소재로 만든 실에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구리나 은 같은 금속을 더해 만들며
      금속 소재를 실처럼 얇게 뽑아 기존 폴리에스터 소재와 일정한 비율로 섞어 꼬아 만드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손에서 흐르는 미세한 전류를 화면과 연결해 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정전식 터치 액정이 감지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물건으로도 터치가 가능하다는 사실!
      그중 과자 봉지의 전해질이 되는 수분을 포함하고 있어 터치가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스마트폰은 정전식 화면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정전식 화면은 손 끝에 흐르는 미세한 전류를 인식하는 것인데요, 과장봉지는 투명 비닐에 알루미늄층, 그 위에 또 비닐이 코팅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미세한 전류가 흐를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스마트폰도 인식할 수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과자 봉지로 스마트폰 터치가 되는 현상은 전기용량식 터치스크린에서 발생합니다.

      전기용량식 터치스크린은 투과성 있는 물체가 전기적인 용량을 변경시키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은 인간의 손가락이 터치할 때, 손가락과 터치스크린 사이에 발생하는 전기용량 변화를 감지합니다.

      과자 봉지 역시 전기용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에서도 감지됩니다. 그러나, 과자 봉지의 전기용량이 손가락보다 훨씬 적기 때문에, 과자 봉지로 터치스크린을 조작하는 것은 일반적인 터치보다 훨씬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과자 봉지로 터치스크린을 조작하는 것은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이 정확하게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