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30

우박은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궁금합니다. ㅎ

안녕하세요. 유소유소유입니다. 우박이 생기는 원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어떻게 무거운

얼음 조각이 하늘에서 생성될 수 있는지 신기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23.01.30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적운(積雲)이 발달되어 구름 꼭대기가 5∼10℃까지 이르면 빙정(氷晶)이 생기고 습도가 높은 구름에서 급속도로 성장하여 눈의 결정이 된 후 떨어지기 시작한다. 낙하 도중에 많은 수의 과냉각된 구름 알갱이가 충돌하여 얼어붙고, 점차 더 성장하여 낙하속도가 커짐으로써 지상에 이르게 되는데, 이것을 우박이라고 한다. 직경이 5mm이상의 것은 우박이라고 하지만 그보다 작은 것은 싸라기눈이라고 한다.
    우박은 낙하 도중의 기상조건에 따라 투명도가 결정된다. 즉, 기온이 높고 구름의 밀도가 짙어서 구름알갱이가 크면 충돌된 구름알갱이의 전부가 얼어붙지 못하고 수막으로 덮이면서 얼기 때문에 투명한 얼음이 되고, 반대의 경우에는 충돌된 구름알갱이가 그대로 얼어붙기 때문에 불투명한 싸라기눈이 된다. 우박은 구름층의 통과거리가 길수록 커진다.


  • 우박은 대기 상층에 있는 차가운 공기와 바로 아래에 있는 가운데의 따뜻한 공기가 상승할 때 생깁니다.

    상승한 공기가 주변의 공기보다 따뜻하여 부력을 받아 더 높은곳으로 상승하게 되어

    구름 속의 얼음 입자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물방울이 계속 얼음에 달라 붙어 점점 커지게 되고, 우박으로 떨어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