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에게 '우리'라는 감정적 동질감이 생기는 시기는 언제인가요?
사람들에게 우리라는 개념은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는데 이개념은 아이들때 부터 생긴다고 합니다. 아이들에게 '우리'라는 감정적 동질감이 생기는 시기는 언제 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리라는 개념은 공동체 의식으로서 단체 생활을 하기 시작하면서 생깁니다. 초등학교에 입학하면서 단체 활동을 하게 되면서 친구를 배려하는 마음도 생기고 친구들과 협력하는 놀이와 다양한 모둠활동을 통해 '우리'라는 공동체 의식도 생깁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대게 5세정도에 아이는 친구들을 인지하고 함께활동하는경우가 많아집니다
아이의 발달정도에 따라서다를수있으나 이렇게 친구를 인지하고 같이 활동하는경우에 우리라는 것을 인지하고받아드릴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아무래도 3살 정도는
되어야 우리, 가족 이러한 동질감이
생긴다고 할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마다 '우리 '라는 감정적 동질감이 생기는 시기는 다 다를 것입니다
빠르게는 4살 정도부터 생길 수 있을 것 같으니, 늦으면 여섯살, 일곱살 정도에 생기기도 할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이러한 개념은 아이가 어린이집에
다니는 시기부터 알 수 있는 감정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사회화를 통하여 깨닫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마다 개념습득하는 시기가 다를수 있어요. 초1학년 아이들 교육과정에서 나, 너, 우리를 배우게 됩니다. 빠른 아이들은 입학전부터 가족의 개념을 우리라고 인식을 하는경우도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 동질감이 생기는 시기는 보통 자아가 성립하는 시기와
맞물립니다. 자아는 보통 12-24개월 사이에 생기고 18-24개월 된 아이는 혼자서 할 수 있는 일이
많아집니다. 다양한 활동을 점점 부모의 도움으로부터 밧어나 자립하게 되면서
동질감 등이 생긴다고 합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사회화과정이발달하는시기에는 우리라는개념을 습득할수있을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우리’ 라는 동질감이 생기는 시기는 만5세 경 입니다.
이때는 친구와 가족 이라는 개념이 형성이 되면서 ‘우리’라는 단어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