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버섯은 일반 식물들처럼 광합성을 하는 것이 아닌가요?

식물들은 보통 광합성을 통해서 에너지를 만들고 성장해가잖아요?

그런데 버섯의 경우는 죽은 동식물이나 배설물을 분해해서 영양분을 얻는다는데

버섯의 경우는 광합성 같은 것을 하지 않는 건가요?

그렇다면 햇빛이 없는 곳에서도 버섯을 잘 자랄 수가 있는건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네, 질문해주신 것과 같이 식물은 스스로 양분을 합성해야 생존이 가능하기 때문에 광합성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이때 버섯은 겉모습만 보면 식물처럼 자라기 때문에 흔히 식물이라고 오해하기 쉽지만, 버섯은 식물이 아니라 ‘균류’라는 독립된 생물 집단에 속하기 때문에 따라서 일반 식물들처럼 광합성을 하지 않습니다.

    광합성을 하기 위해서는 엽록체가 필요한데요, 엽록체 안의 엽록소가 빛 에너지를 흡수해 화학 에너지로 바꿔주는데, 균류인 버섯에는 엽록체가 전혀 없습니다. 따라서 버섯은 빛을 이용해 스스로 유기물을 합성할 수 없고, 외부의 유기물을 분해해서 영양분을 얻는 종속영양 생물인 것입니다. 이러한 버섯의 본체는 사실 우리가 흔히 보는 갓과 대가 아니라, 토양이나 나무 속에 퍼져 있는 균사인데요, 이 균사가 효소를 분비해 죽은 동식물, 낙엽, 배설물, 목재 속의 셀룰로스와 리그닌 등을 분해하고, 그 결과 생긴 포도당, 아미노산 같은 작은 분자를 흡수해서 성장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버섯은 광합성을 하지 않습니다. 버섯은 엽록소가 없어 스스로 영양분을 만들 수 없기 때문에, 죽은 유기물을 분해하여 영양분을 얻는 종속영양생물입니다. 따라서 햇빛이 없는 어두운 환경에서도 잘 자랄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먼저 버섯은 광합성을 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버섯은 식물이 아닌 균류에 속하기 때문입니다.

    버섯과 식물의 가장 큰 차이점은 영양분을 얻는 방식에 있습니다.

    식물은 뿌리를 통해 물과 무기물을 흡수하고, 잎에 있는 엽록체를 이용해 햇빛으로부터 광합성을 하여 스스로 양분을 만들어냅니다.

    반면 버섯은 엽록체가 없어 광합성을 할 수 없습니다. 대신 말씀하신 것처럼 주변의 유기물, 예를 들어 썩은 나무나 낙엽, 동물 배설물 등을 분해해서 영양분을 얻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버섯은 주로 어둡고 습한 곳에서 자라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버섯은 식물처럼 광합성을 통해 스스로 양분을 만들지 못하고, 다른 유기물에 의존하는 종속영양 생물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버섯은 균류에 속하고 엽록소가 없어서 광합성을 하지는 못합니다.

    대신 유기물을 분해해서 에너지를 얻는 흡수영양을하기때문에

    죽은 식물이나 동물, 배설물등에 뭍어서 자랍니다.

    그래서 햇빛이 없는 어둡고 습한환경에서도 잘 자랄수있고,

    실제로 동굴이나 나무 밑 그늘에서도 번성할 수 있다고합니다.

    감사합니다.

  • 버섯은 식물이 아니기 때문에, 엽록소가 없고, 광합성을 하지 못합니다.

    버섯이 자라는 서식환경을 보면, 햇빛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음지에 숨어있는 경우가 많죠?

    버섯은 식물이 아닌 곰팡이(균류)에 속합니다.

    따라서 광합성으로 스스로 영양분을 만들수 없고, 움직이면서 영양분을 획득할 수 없기 때문에

    죽은 동식물이나 유기물을 분해하여 영양분을 흡수하는 부생생활을 하거나,

    다른 생물에 기생하는 기생생활을 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