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대체형 국가들 중에서 성공 사례는 어느 나라인가요?
아하에 어느 분이 올린 어떤 질문 글을 보고 문뜩 생각이 난 것인데,
몇 년 전에 경제학 원론을 배울때,
후진국이 발전하기 위한 경제 전략이 두 가지인데,
하나가 수출주도형이고, 다른 하나가 수입대체형이라고 배웠습니다.
이때 수출주도형의 성공 사례가 대한민국이고,
후진국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수출주도형으로 가야 한다는 것이 주류라고 하는데,
그러면 수입대체형의 성공 사례는 어느 나라인가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수입대체형 성장국가에서
브라진, 아르헨티나, 칠레 등이 해당 모델이나
성공을 거두었다고 보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수입대체산업화는 1960년대 초까지는 라틴아메리카 일대에서 많은 성과를 냈지만 1960년대 중반기부터 점차 한계를 보이기 시작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수입대체산업화(輸入代替 産業化 / Import Substitution Industrialization, ISI)란 원조,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재화를 국내에서 생산하도록 이끄는 것을 말합니다. 즉 말 그대로 수출 보다는 수입을 대체하기 위해 관련 국내 산업을 활성화시키는 것인데 이러한 정책의 성공적인 케이스는 일본 정도밖에는 생각이 안들고 실패한 케이스는 중남미 국가들 같다는 생각 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수입대체형이라고 하는 것은 수입을 하는 물품에 대해서 자국에서 생산하는 제품으로 대체하는 전략을 말하는데, 최근 이러한 수입대체형의 가장 성공적인 사례라고 한다면 중국이나 러시아를 들 수가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