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콘크리트 팝아웃현상은 어떨때 일어나는지 궁금합니다.
요즘 구조물 붕괴사고 등이 일어나고 있는데요. 이런사고의 원인중. 콘크리트 팝아웃현상이 있다고 하는데요. 어떨때 발생하는지 답변부탁드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
팝아웃 현상은 크게 두가지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동절기에 콘크리트 내에 수분이 동결되어서 팽창하면 해당 부분의 콘크리트가 박리됩니다. 다음은 콘크리트에 알칼리 성분과 골재 중 실리카, 황산염 등이 만나 반응하면서 골재가 팽창하여 박리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화재시 콘크리트 내부 수분의 변화로 박리가 생길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콘크리트 팝아웃은 콘크리트 표면의 작은 조각이나 골재가 떨어져 나가는 현상입니다. 이는 콘크리트 내부의 물이 얼어 부피가 팽창하면서 압력이 가해질 때 발생할수도 있고, 시멘트의 알칼리 성분이 골재와 반응하여 팽창성 젤을 만들 때도 나타납니다. 그리고, 외부 또는 내부의 황산염이 콘크리트와 반응하여 팽창성 물질을 생성할 때 발생하고, 철근이 녹슬면서 부피가 늘어나 주변 콘크리트를 밀어낼 때 발생합니다. 이러한 현상들은 콘크리트 표면 손상뿐 아니라 구조물 전체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콘크리트에서 팝아웃 현상은 표면에 작은 원형 또는 원뿔형 조각이 튀어나가면서 구멍이 생기는 현상을 말합니다.
주로 콘크리트 내부에 포함된 수분이 추운 날씨에 얼면서 팽창해 표면을 밀어내게 되는데 물 흡수율이 높은 골재가
겨울철에 팝아웃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