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피부과

역대급노력하는꼼장어
역대급노력하는꼼장어

가족들이 돌아가면서 몸에 벌레 물림? 같은 자국이 계속 생겨요.

나이
18
성별
여성
eyes-icon
개인 정보가 담긴 콘텐츠일 수 있어요.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겨울 중후반쯤때 가족들 몸에 차례대로 벌레 물린것처럼 부어오른 자국이 생기고 있습니다. 작게는 500원 동전만 하게, 혹은 그것보다 더크고 넓게 부어오르고 모기물린 것처럼 간지럽네요.

처음에는 제가 스트레스성 두드러기로 피부가 부었던 적이 있어 두드러기인가 했는데 같이 사는 다른 가족들도 달에 한번 정도씩 돌아가며 이런게 생긴다고 하네요.

집에 모기는 없고 엄마는 집에 개미라도 들어온게 아닌가 의심하시는데..혹시 왜이러는지 아시는 분 계실까요?

집 진드기나 개미에게 물린자국인지, 아니면 뭐 자는 이불 제질이 안 맞기라도 하는건지..

가려운 것도 하루정도 지나면 없어지고 금방 가라앉아 흔적도 없이 사라져 병원가기도 애매한데 계속 이런게 가족끼리 돌아가며 생기니 신경쓰이네요..ㅠ 이번엔 제 차례인지 또 생겨서 이게 대체 뭘까 싶어 이렇게 올려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사진으로는 정확한 진단 불가능하며 병원 방문하셔서 직접 육안으로 진료 보셔야 합니다

    가족 모두에게 주기적으로 벌레 물린 듯한 가려운 부종이 생긴다면 집 안에 서식하는 해충(집먼지진드기, 빈대, 벼룩 등)이 원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겨울철이라면 집먼지진드기나 빈대가 의심되며, 침구류나 카펫, 소파 등에 서식할 수 있어요. 개미도 가능성은 있지만, 개미에게 물리면 보통 따끔한 통증이 동반됩니다.

    다른 가능성으로는 피부가 건조해져 생기는 알레르기성 두드러기나 특정 섬유(이불, 침구, 옷)에 대한 접촉성 피부염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해결책으로는 침구류를 자주 세탁하고, 매트리스와 카펫을 청소하며, 해충 방제를 시도하는 것이 좋을 듯 해요.

    그래도 증상이 지속된다면 피부과에서 알레르기 검사나 진드기·빈대 감염 여부를 확인받는 것이 안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