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기막힌호저81
기막힌호저8122.09.09

언어가 느린아이 말트이는 법아시나요?

현재 28개월인데 입으로 나오는 단어가 많지는 않지만 제법알아들어서 심부름은 잘하는 편이에요

말문이 잘 안트이는데..방법아시는분 계신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혜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아직 말이 완전히 트이지 않아 걱정이 많으시군요 조급해 하시지 마시고 아이랑 자기전에 대화 많이 해주시고 의성어, 의타어 사용을 많이 해주시면 좋습니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질문으로 이야기를 많이 해주시고 노래 불러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느정도 호명에 반응을하고 말을 알아듣는다면 크게 걱정할것은 아니며

    평소에 언어적 자극을자주주고 대화를 자주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정경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두돌 조금 지난시점으로 말을 알아듣고

    몇몇개의 단어를 얘기한다면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조금더 말문트이는데 도움이 되는건

    부모님이 의성어.의태어등등

    구체적으로 많은 표현을 대화하듯

    지속적으로 얘기를 해주는게 많은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마다 발달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빠르기도 하고 늦게 터지는 아이도 있으니 너무 걱정 마세요

    아이가 말을 짧게 한다면 엄마, 아빠는 덧붙여서 말을 꾸며 주면 좋아요

    예를 들어 아가가 '물' 이라고 말하면 '물이 먹고 싶구나 ' '무슨 컵에 물 줄까?'

    아이가 '코 자' 라고 한다면 '아가가 코 자는 구나' 라고 말을 이어가게 해주세요

    아이가 '이거 머야” 라고 말하면 '빨간색 색연필 말이니?' 식으로 명확하게 말해주어야 합니다

    아이들의 언어 발달은 말하는 것보단 듣고 이해하는 수용 언어가 선행되므로 다양한 단어를 듣고 이해할 기회를 만들어줘야 합니다

    아이에게 엄마, 아빠의 말을 이해 시키고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문장을 들려줘야 합니다

    예를 들어 “아빠는 우리 OO가 양치질 좀 했으면 좋겠어” 라고 복잡한 문장보다는 “양치질 해라” 처럼 의미가 명확하게 전달되도록 말해주는 게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말을 자주 시키십시요.

    이야기도 자주 들려주고 책을 자주 읽어 주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언어 발달은 아이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아이는 부모가 들려주는 대화 속에서

    대부분의 단어와 문장을 배운다고 합니다.

    아이게 책을 많이 읽어주시고 자주 말을 걸어주세요.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직은 좀더 기다려주셔도 무방할것 같습니다.


    아이들의 발달은 다 개별적인 차이가 있으며 특히 언어 발달은 그 차이가 더 심합니다. 괜히 '말이 느린아이, 빠른아이' 라는 말이 생긴게 아닌거죠. 아이에게 말을 많이 걸어주시고 끊임없이 자극을 걸어주세요. 지금 부모님이 할 수 있는 것은 아이를 믿고 기다려주는 일입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개월수에 비해 느린편이지만 아이마다 편차가 있기때문에 너무 조급해 하시면 아이게게 스트레스를 줄수 있습니다 때문에 계속 현상태가 지속된다면 언어치료센터를 방문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직 아이가 한참 말을 배우고 트이게 하는 시기입니다

    불안한 생각이 있으시겠지만

    너무 조급해하는 것은 아이에게 오히려 좋지 않습니다

    때문에 아이에게 명확한 부모의 음성을 많이 들려주고 따라하게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언어가 너무 느리다면

    부모님께서 책을 천천히 읽어주시고

    아이가 이를 따라하게 하는 방법으로 언어를 트이게

    도움을 줄 수도 있으며 아이가 좋아하는 노래 등을

    따라부르게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