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매끈한참고래15
매끈한참고래15

우리나라가 세계 각국 상대로 수.출입을 하는데..

수.출입 금액 기준으로 흑자 내는 국가 순위가 어떻게 되나요?

해마다 조금씩 달라질수 있겠지만 개략적 및 최근 3~5년 기준으로 봤을때 흑자 국가 5개, 적자 국가 5개 정도만 부탁드립니다.

아울러, 흑,적자 규모도 알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무역 수지란 일정기간 동안 발생한 수출입거래에 의하여 발생한 일국의 외국과의 대금 수불액을 의미합니다.

      무역수지는 장기적으로 국가 산업의 경쟁력을 투영하고 있으며, 단기적인 측면에서는 경기 순환 사이클을 의미합니다. 국제적인 지표 중 매우 중요한 항목으로 흑자와 적자의 크기를 가늠하여 평가절상 또는 평가 절하의 지표로 사용되곤 합니다.

      문의하신 1-5위 흑자/적자국 순위를 알려 드리겠습니다.

      또한 해당 표는 관세청에서 집계한 22년도 무역수지 국가별 통계치이기에 참고해주시면 되겠습니다.

      * 기간 : 22년도

      * 단위 : 천 불(USD 1,000)

      <흑자 순위>

      1위 : 베트남 28,647,006

      2위 : 미국 23,223,083

      3위 : 홍콩 22,443,332

      4위 : 싱가포르 8,824,702

      5위 : 인도 8,128,389

      <적자 순위>

      1위 : 사우디아라비아 -35,549,860

      2위 : 호주 -31,359,328

      3위 : 일본 -20,017,603

      4위 : 카타르 -13,190,239

      5위 : 독일 -10,880,612

      답변 내용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추가적인 문의사항은 댓글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문의주신 우리나라 기준 3년치 연도/국가별 무역수지 상위/하위 송부드립니다. (US달러 기준)

      1. 2021년

      - 흑자

      1) 홍콩: 35,219,687,784

      2) 베트남: 32,762,825,527

      3) 중국: 24,284,847,384

      4) 미국: 22,688,541,937

      5) 인도: 7,547,224,504

      - 적자

      1) 일본: -24,580,358,585

      2) 호주: -23,167,484,722

      3) 사우디아라비아: -20,946,653,946

      4) 카타르: -11,190,914,382

      5) 독일: -10,886,445,733

      2. 2020년

      - 흑자

      1) 홍콩: 29,113,396,090

      2) 베트남: 27,931,982,997

      3) 중국: 23,680,800,085

      4) 미국: 16,623,641,552

      5) 인도: 7,036,590,473

      - 적자

      1) 일본: -20,925,384,291

      2) 사우디아라비아: -12,677,724,902

      3) 호주: -12,518,592,129

      4) 독일: -11,104,782,261

      5) 카타르: -7,223,044,291

      3. 2019년

      - 흑자

      1) 홍콩: 30,133,333,895

      2) 중국: 28,973,796,765

      3) 베트남: 27,106,191,815

      4) 미국: 11,465,333,668

      5) 인도: 9,531,042,197

      - 적자

      1) 일본: -19,160,639,523

      2) 사우디아라비아: -18,143,460,200

      3) 호주: -12,717,671,858

      4) 카타르: -12,679,262,508

      5) 독일: -11,251,199,971

      관련된 무역통계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한국무역협회 K-STAT 첨부드리니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https://stat.kita.net/ (국내통계 > 국가 수출입)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와 관련하여는 아래 그림을 참고부탁드립니다.

      규모의 경우 매년 달라지긴 합니다만, 흑자, 적자국가의 순위는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5년치 전체 자료는 관세청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하며, 아래 링크를 참고부탁드립니다.

      (https://www.data.go.kr/data/3078837/fileData.do?recommendDataYn=Y)

      무역 흑자국들은 통상적으로 한국의 완제품(휴대폰, 석유화학제품 등)을 수입하는 곳이며, 무역적자가 발생한 곳은 한국에 산업기계(예: 반도체장비, 센서 등)을 수출하거나 혹은 원자재(원유, 천연가스 등)을 수출하는 국가라고 이해하시면 될 듯 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마음에 드시는 경우에는 추천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최근들어 우리나라의 무역수지가 적자로 전환되면 좋지 않은 상황이지만 이전을 생각해보았을때 우리나라는 대부분 무역흑자를 기록하고 있는 국가들이 많을 것으로 보입니다.

      2021년 수출통계를 보면 주요 국가들 중 우리나라의 수출금액보다 수입금액이 많은 국가는 일본, 독일, 러시아 등입니다.

      또한 원유 수입에 의존하여 사우디아라비아나 아랍에미리트 등의 무역수지 또한 좋지 않습니다.

      관세청 무역통계 사이트에서 관련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unipass.customs.go.kr/ets/index.do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

      올해 기준으로 10대 흑자 국가 순위는 베트남, 미국, 홍콩, 싱가포르, 인도, 필리핀, 폴란드, 튀르키예, 헝가리, 멕시코 순입니다.

      반면 10대 적자 국가 순위는 사우디아라비아, 호주, 일본, 카타르, 독일,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연합, 러시아, 이라크, 칠레 순입니다.

      적자 국가에 중동 국가가 많은 것은 우리나라가 에너지(석유, 천연가스 등)를 수입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우리나라의 국가별 무역수지 흑자/적자국가 내역은 관세청 유니패스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링크 첨부드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unipass.customs.go.kr/ets/index.do?menuId=ETS_MNU_00000177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