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기막힌퓨마128
기막힌퓨마128

대상포진 연고나 약 대리처방 가능한가요?

나이
22
성별
여성

엄마가 많이 아픈데 병원을 안 가려고 해서요ㅠ 대리처방 가능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일반적으로 초진시 환자를 보지 않고 진단 후 처방을 받기는 어렵습니다. 화상진료가 가능한 곳이 있다면 해당 진료 기관에 문의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본래 법적으로는 대리처방이 불가합니다.

    환자의 거동이 곤란하거나 의식이 없는 경우, 또는 장기간 동일한 질환으로 처방을 받아야 하는 경우에 환자 동의를 확인하고 보호자가 환자를 대신하여 처방전을 받을 수 있기는 합니다.

    대상포진은 빠른 항바이러스제 복용이 병의 유병기간을 줄이는데 매우 중요합니다. 항바이러스제 연고를 바르는걸로 충분하지 않습니다. 꼭 어머님 설득하셔서 진료 받으러 가셔서 약을 처방받아 복용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대리처방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거동이 곤란하거나 의식이 없어 환자가 직접 병원에 방문하기 어려운 경우로 한정됩니다. 해당 조건이 되지 않는다면 대리처방은 어려울 것으로 생각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대상포진 치료를 위한 경구약이나 연고는 일반적으로 전문의약품에 해당하기 때문에, 원칙적으로는 환자가 직접 진료를 받아야만 처방이 가능합니다. 특히 항바이러스제는 치료 시작 시점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진단이 명확하지 않은 상태에서 임의로 약을 받는 것은 권장되지 않아요

    대상포진은 조기 치료가 늦어지면 통증이 오래 남거나 합병증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한 빠른 진료가 필요합니다.

    다만, 예외적으로 대리처방이 가능한 상황이 있습니다. 「의료법 시행규칙」에 따르면, 환자가 의식이 없거나 거동이 불편한 경우, 또는 만성질환으로 동일한 처방이 반복되는 경우에 한해 보호자나 가족이 대리처방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환자와 보호자의 신분증, 가족관계를 증명할 수 있는 서류(예: 주민등록등본 등), 병원 측이 요구하는 동의서 등이 필요할 수 있어요.

    하지만 대상포진은 급성 질환이고, 첫 진단이 필요한 경우에는 대리처방이 인정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어머님이 병원을 꺼리시는 경우에는, 가까운 동네 의원이나 재택진료 서비스, 비대면 진료 앱 등을 활용해 최소한 진단과 처방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빠른 치료가 대상포진 후 신경통을 줄이는 핵심이기 때문에 설득을 시도해 보시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