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요즘들어 아파트 값이 많이 떨어졌던데 왜그런가요?

안녕하세요 공정하고 깔끔한 다람쥐입니다

아파트 값은 떨어지는데 왜 전세값과 월세값은 그대로인가요?

오를 땐 올리고 내릴 땐 안내리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박병윤 공인중개사
      박병윤 공인중개사

      안녕하세요. 박병윤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값이 떨어지면서 전세보증금,월세 같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전세보증금은 실시간 거래가 아니고 2년단위로 거래가 되기때문에 즉각반영이 잘되지 않습니다.

      → 다만, 시장에 전세매물이 넘쳐나고 수요는 없는상황이기때문에 기존보다 전세가가 낮게 형성되어 있습니다.

      오를때 오르고 내릴때 같이 내립니다. 전세가도 월세도.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거주하시는 곳이 어디인지는 모르겠으나, 현 전세가격이 그대로 유지되는 곳은 많지 않습니다. 이미 주태가격하락과 최근 전세 회피로 인해 전세가격은 하락하고 있습니다. 또한 주택가격은 실시간 거래를 통해 하락이 나타나지만 전세의 경우 계약기간이 있기에 주택가격에 바로 반응하기는 어렵지만 결국은 주택가격에 따라 움직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값도 내려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물론 전세값은 매매가보다는 임대차기간이라는게 존재하기 때문에 바로 따라 내려가지는 않습니다.

      반면 월세는 전세가 비선호되면서 오히려 가격이 유지 및 상승쪽의 느낌이 있는 것 같습니다.

      물론 지역마다 주택의 유형마다 편차가 크기에 개인적으로 느끼는 부분에 대한 답변임을 말씀드립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강애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 매매가격이 하락해도 임대차에도 영향이 있습니다.

      매매 가격이 하락하면 전세임대도 가격이 하락을 하지만 매매 만큼 하락하지는 않더군요.

      전세수요는 줄었지만 보증금이 상대적으로 적은 월세는 상승하거나 유지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공인중개사입니다.

      1. 전세값은 법에 따라 2+2시 5% 상한 규정을 두었기 때문에

      사실 작년에도 전세나 월세가 그렇게 많이 오르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전세나 월세는 매매가 만큼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오르지도 않았으니)

      2. 현재 매매 거래량이 줄어든 만큼 사람들이 일부러

      전/월세 살기도 합니다

      그래서 전/월세 매물은 수요가 있기 때문에 가격이 그렇게 떨어지지 않습니다

      즉, 매매 수요자들이 전/월세로 이동해왔기 때문!

    • 안녕하세요.

      집을 사는 기본적인 이유는 집을 사서 시세가 올라 자산이 늘어나기를 바라는 마음이 첫번째라고 생각이 됩니다.

      그런데 집을 살때 대부분 대출레버리지를 활용해서 최소금액으로 집을 사는 경우가 많습니다.

      최근에 금리가 높다보니 대출을 사용할 엄두가 나지 않은부분이 있고, 코로나이후 단기간에 급격히 상승한 후 또 단기간에 급격히 하락을 하고 있어서, 아직 더 떨어질거라는 여러가지 의견들이 많아서, 집을 사지 않고 전세나 월세로 옮겨가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대출을 받게 되면 금리가 높다보니 집을 사는것보다 차라리 월세를 내는게 더 낫다고 판단하여 월세전환율이 높아지고 그와 함께 수요가 증가하다보니 월세가 증가분위기를 나타내고 있는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