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01

25개월 아기가 열이 납니다.

열이 38도가 넘었고 컨디션이 쳐저있어서 해열제를 먹였습니다. 그 전에는 기침을 하거나 콧물이 났었는데 지금은 그런 증상들 없이 열만 조금 오르는데 병원에 가야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만약 해열제를 먹여서 열이 없이 정상체온이고

    기침을 하거나 콧물이 나지도 않는다면 병원에 가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하지만 미열이 지속된다면 병원에 가서 원인을 확인해봐야겠습니다.

    38도면 고열인데 기침이나 콧물이 아니라 다른 이유일 수도 있으니 말입니다.


  • 어지현 육아전문가blue-check
    어지현 육아전문가23.02.01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열이 3일 이상 떨어지지 않는다면 독감을 의심해 볼 수도 있습니다.

    독감은 일반 감기와 증상이 다른데 심할 경우 고열에 오한이나 구토까지 있을 수도 있으니 오늘까진 지켜보시더라도 내일은 소아과에 가셔서 독감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선은 지켜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따로 증상이 없고 열도 많이 높디 않다면말이지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기침, 콧물이 없어도 목이 부어서 열이 날 수도 있어요. 열이 38도 정도면 해열제 먹이고 지켜보셔도 괜찮습니다.

    하지만 39도 이상 넘어가면 꼭 병원에 가보시고 그 전에라도 아이가 너무 쳐지면 병원을 가보세요.

    감기 증상이 없어 보여도 병원은 가보시는게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일단은 아이가 열이 지속하여 난다면

    병원에 가서 아이의 상태에 대하여 진단을

    받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열이 오른다고 병원에가도 크게 처치해줄것은 없습니다

    우선 해열제를 먹였다면 기다려보는것이 좋으며

    해열제를 먹었는데도 열이 계속나고 아이가 체력이 없다면

    병원에가보시는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부모님 고열이 나는 아이때문이 걱정이 많으시지요.

    집에 상비약으로 해열제가 비치되어 있는 모양입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아이들의 열은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열이 오래 지속되면 다른 합병증으로 옮겨갈 수도 있고요.

    특히 아이들은 자신의 건강상태를 깨닫거나 표현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어서 아파도 어디가 아프거나, 어떻게 아프다는 것을 표현하기 어렵습니다.

    해서, 해열제를 부모님께서 판단해서 먹이는 것보다는 가능한 병원을 방문해서 열이 나는 원인을 파악하고 의사선생님께서 가정에서 또 열나면 해열제 먹여도 된다는 판단을 따라서 치료해주시는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특수교육을 전공한 사람으로 어릴적 고열로 장애를 판정받은 사례를 너무나 많이 보았습니다. 걱정스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가까운 병원을 방문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해열제를 투여했는데도 열이 내겨가지 않는다면, 병원 진료를 보는 게 나을 것 같아요.

    미지근한 물 수건으로 아이 몸을 닦아 주는 것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방안 환경을 조금 더 시원 하게 해주시고, 찬물은 피하고 따뜻한 물을 자주 먹이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해열제 복용 후에도 열이 잘 떨어지지 않거나

    아이의 컨디션이 저하가 되는 경우는 병원 진료를

    보는게 좋을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기의 열은 언제 일어날지 모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위생 부터 면역력 까지 유심히 살피고 챙겨주어야 하지요.

    열만 조금 오른다면 그 얄이 약간의 미열이면 미지근한 물에 수건을 적셔 온 몸을 닦아주세요,

    그러나 아기가 버티기 힘들어 한다면 병원에 데려가시는 게 좋을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