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마다 초음파 결과가 다른 경우 있으셨어요?
A병원은 결절이 있다
B병원은 없다
이럴수 있나요?
B병원에서 놓친건지..작아서 설명이 빠진건지..뭘까요 작으면 어느선까지 패쓰하는건지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동일한 시기에 초음파를 했는데 결과를 다르게 말했다면 초음파상 애매한 음영을 다르게 해석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초음파 검사는 시행하는 의사의 숙련도나 사용 장비에 따라 결과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결절의 크기가 작은 경우, 발견 여부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0.5cm 미만의 결절은 임상적 의미가 적어 언급이 생략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결절의 위치나 성상에 따라서는 작아도 중요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판단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초음파 결과에 대해 의문이 든다면, 해당 영상의학과 전문의와 상의하여 결절의 특성과 임상적 중요성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필요하다면 조직검사 등 추가적인 검사를 고려해볼 수도 있습니다. 아울러 정기적인 추적 관찰을 통해 결절의 변화 양상을 지켜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답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조언으로 건강관리에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만약 그렇다면 추천 버튼을 눌러주시면 앞으로도 이런 건강 상담을 지속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초음파 검사를 했을 때는 일반적으로 결과가 같야 하는 것이 맞습니다 차이가 있다면 검사를 한 결과에서 오류가 있었을 수 있기 때문에 다른 곳에서도 검사를 받아 보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병원마다 초음파 결과가 다른 경우는 검사 장비의 해상도와 성능, 검사를 수행하는 의사의 경험과 숙련도, 그리고 결절의 크기와 위치 등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A병원에서 결절이 있다고 진단받았지만 B병원에서 발견되지 않은 경우, 이는 B병원에서 결절을 놓쳤거나 결절이 매우 작아서 식별하기 어려웠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초음파 검사에서 작은 결절을 발견하는 것은 기술적 한계와 검사자의 경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5mm 이하의 작은 결절은 놓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