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솨라있네자네77
솨라있네자네7723.01.14

응급실서 심정지가 와서 CPR로 다시 회복됐는데 앞으로 주의할점이 무엇인가요

나이
68
성별
여성

신장 심장 방광 류마티스등 각종 질환이 합병증처럼 진행중인데 소변이 막혀 응급실서 치료받던중 심정지가 왔습니다 지금은 회복중이신데 앞으로 주의할점이 무엇일까요? 방광수술앞두고 체력보강차원서 계단오르기하시다 숨이차 응급실가셨습니다 운동도 조심해야 하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성진 의사입니다. 협심증이나 심근경색등 심장질환이 있으신 경우는 심장박동수가 빨라지거나 숨이 찰수있는 운동은 피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현재로서는 명확한 심정지의 원인을 알기 어려우므로 대응책은 원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심부전의 경우 심장기능이 약하다면 부정맥으로 인해 심정지가 발생할 수 있고 부정맥에 따라 인공 심박동기 등을 삽입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

    심정지가 온 이후에는 과도한 운동을 절대 삼가셔야 하고 추후 생체 징후를 확인 후 퇴원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심정지의 원인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이미 심장 질환이 있었고 운동을 하다가 생긴 증상이라면 심근 경색이었을 것 같습니다. 심근 경색에 대한 추가적인 약물 치료와 스텐트 시술을 일단 하겠지요. 운동은 당장은 어렵지만 회복 후에 유산소 운동은 시작하셔야 합니다. 운동을 할 때 가슴 통증이 있다면 피해야 하구요.


  • 안녕하세요. 오현수 의사입니다.

    심정지가 날 경우 혈류가 정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심폐소생술로 회복되었더라도 전해질 이상 세포 손상등이 매우 크게 남을텐데, 우선적으로 몸이 회복되어 완전히 정상궤도에 오르기 전까지는 모든 면에서 조심할 것을 권유드리며, 심정지의 원인 평가 또한 진행 되어야 할 것입니다. 수술 또한 몸의 전반적인 상태, 치력 등이 뒷받침되어야 하는 것이기에 의료진이 제시하는 방향성을 잘 따르길 강력히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단순히 계단을 오르는 정도에서 ER 을 가실 정도로 심폐 기능이 떨어지는 경우는 수술이나

    시술은 위험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전신 마취를 견디기 어려운 상태임을 의미하게 됩니다.

    위험할 수 있으며 CPR 까지 한 분을 수술을 진행하는 것은 생명을 걸고 수술을 진행해야 할

    수 있으며 특히 전신 마취 수술에는 금기일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