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도시보증공사 가입 된 재개발 아파트 일반분양
안녕하세요, 사진과 같이 주택도시보증공사 보증보험이 가입된 아파트로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재개발 아파트를 분양할 때 특별한 위험은 없죠? 조합원 같은 경우에는 추가 분담금이라든지 이런 리스크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일반 분양(청약 추첨제)의 경우에는 사업이 안 되더라도 계약금과 중도금을 전부 보증 보험에서 돌려받는 게 맞습니까? 특별히 걱정할 것이 없는지 확인하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추가로 지역주택조합 아파트의 경우는 조합원 가입이 필수이고 청약 통장등이 필요하지 않는것이죠? (할 생각은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개발 주체인 조합원이 아닌 일반분양을 통해 당첨된 수분양자들은 개발비 증가에 따른 부담을 지지 않습니다. 또한 분양에 따른 분양대금은 위 말하듯 보증보험을 통해 보증이 되기 떄문에 금액손실에 대한 가능성은 낮습니다, 다만 분양이 늦어질경우 계획된 입주가 불가능해질수 있기에 이에 대한 부분은 손해로 나타날수 있습니다.
지역주택조합의 경우 입주권을 매수하면 당연 조합가입을 해야하지만 , 지주택의 경우 조합원으로 참여시 가입은 필수이며 청약통장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단, 지주택이라도 일반분양을 통해 분양권을 획득하는 과정은 일반분양과 동일하기 떄문에 청약통장이 필요하고 조합원 가입은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재개발 일반 분양은 청약을 통해서 당첨이 되고 계약금 넣고 중도금 집단 대출로 하다가 잔금 시 잔금을 치고 입주를 하시면 됩니다. 조합원 분양이 아니기 때문에 추가분담금에 대한 위험부담도 없고 그냥 일반분양가만 책임을 지시고 입주를 하시면 되지만 가장 큰 리스크는 미분양이 나서 가치가 떨어 질 수 있는 점만 조심 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HUG 보증 가입된 재개발 아파트, 일반 분양자 입장에선 위험이 거의 없습니다 (계약금/중도금 보증)
,사업이 중단되면 HUG 분양보증으로 전액 환급합니다 (옵션비 제외 가능성 있음)
,일반분양자는 고정 분양가로 계약되므로 추가금 없습니다
,지역주택조합은 청약통장 필요 없고 조합원 가입만 필요합니다
지역주택조합 리스크는 토지 미확보, 사업 중단, 추가금 등 위험이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일반 분양 아파트의 경우 주택도시보증공사 보증보험이 가입되어 있다면 사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더라도 계약금과 중도금을 전부 보증보험에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즉 분양자가 입주하지 못하거나 사업이 중도에 무산될 경우 HUG에서 일정한 범위 내에서 분양대금 반환을 보증하기 때문에 특별한 문제는 없습니다.
반면 재개발이나 재건축 조합원인 경우 사업비 부족이나 추가분담금 등이 발생할 위험이 존재해 상대적으로 큰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조합원은 사업 진행에 따른 추가 비용 분담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접근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