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증상에 대해서 약의 플라시보효과가 어느정도로 좋은가요?
약의 플라시보효과는 많은 일반인들도 알고 있는데요 이중 우울증 증상에도 상당히 효과적이다라고 하던데요
우울증의 약의 플라시보효과가 어느정도로 좋고 왜 플라시보 치료효과가 징후가 좋게 나오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우울증환자에 대한 약의 플라시보효과는 있지만 제한적일수 밖에 없습니다.
실재 뇌신경전달물질의 장애로 인한 우울증에는 더욱 제한적입니다
대면 상담없이 작성된 댓글은 참고만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우울증의 경우, 증상이 지속되는 것이 아니고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호전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플라시보로 약을 복용하더라도 "낫겠지"하는 희망으로 버티다보면
자연 치유가 되는 것일 듯 하네요 (혹은 환경 변화, 스트레스 감소 등으로)
미국에서 시행한 연구 결과는 우울증 약 자체보다 플라시보 효과가 더 우월하다고 나온 것도 있는데 실제로 전문가들은 그 기간 동안 의사와 간호사의 보살핌 덕분이지 플라시보 효과 때문에 나아진거라고는 보고있지 않습니다. 사실 모든 병에는 어느 정도 플라시보 효과가 있고 우울증 역시 그 중 하나라고 생각하시면 될거같습니다. 우울증 약을 먹기 시작하고 일정 기간이 지나야 의학적 효과가 나타나는데 많은 환자들이 그 전부터 효과를 느끼곤 합니다. 이게 플라시보 효과죠. 감사합니다
어떤 연구에 따르면 항우울제 임상시험에서 플라시보를 복용한 환자들의 약 30-40%가 증상 개선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플라시보 효과가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강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약을 복용하면 증상이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가 뇌의 화학적 변화를 유도하여 실제로 기분이 좋아질 수 있습니다. 의학적 환경에서의 돌봄과 지지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환자는 의사와의 상호작용과 치료 과정을 통해 심리적으로 지지받고 있다는 느낌을 받게 되며, 이는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합니다. 플라시보 효과는 뇌의 보상 시스템을 활성화하여 도파민과 같은 기분을 조절하는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플라시보 효과는 환자가 자신의 증상을 스스로 관리하고 있다는 주도감을 느끼게 해주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심리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플라시보 효과가 우울증 증상 개선에 기여하게 됩니다.
이와 관련하여 관련된 논문을 첨부드리겠습니다.
1) 국립정신건강연구소(NIMH)에서 진행된 연구는 플라시보가 µ-오피오이드 수용체의 뇌 활동을 증가시켜 감정과 스트레스 조절에 관련된 뇌 영역에서 활동성을 높인다고 보고했습니다
Placebo Effect in Depression Treatmenthttps://www.nih.gov/news-events/nih-research-matters/placebo-effect-depression-treatment
2) Frontiers in Psychiatry의 연구는 항우울제의 많은 효과가 플라시보 반응에 기인하며, 약물과 플라시보 간의 개선 차이가 임상적으로 의미가 없을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Placebo Effect in the Treatment of Depression and Anxiety
https://www.frontiersin.org/journals/psychiatry/articles/10.3389/fpsyt.2019.00407/full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하단의 추천 버튼을 눌러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우울증의 경우 상담치료와 더불어, 약물적 치료, 자살 충동까지 매우심한 응급 상황일 경우 전기충격요법까지 고려하게됩니다.
단순히 플라시보만으로 해결될 것은 아니나,
그 증상자체가 경하거나, 진단 자체가 모호할 경우, 사람의 마음가짐에 따른 영향이 있을 수 있기에, 플라시보와 상담만으로도, 도움이 될 수 있음에 대해 질문자분께서 질문주셨던 대로 알고 계신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었기 바랍니다.
우울증을 포함한 다양한 정신질환에서 위약(플라시보) 효과는 30~40%에 이를 정도로 상당히 큰 편입니다. 위약을 투여받은 환자들이 실제 증상 호전을 보이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첫째, 위약을 복용함으로써 치료에 대한 기대감이 생기고 이것이 뇌의 보상회로를 자극하여 도파민 분비를 촉진시킵니다. 둘째, 정기적인 약물 복용이라는 건강한 일상 습관이 만들어지고 이를 통해 우울감이 경감되는 효과가 나타납니다.
하지만 위약효과는 대개 일시적이므로 장기적인 우울증 치료를 위해서는 전문의의 진료를 통한 약물치료, 정신치료 등이 필요합니다.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우울감, 불면, 무기력감 등이 있다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상담하시는 것이 도움될 것 같습니다.
우울증의 경우 심리적인 부분인 경우에는 플라시보도 어느정도 효과가 있을수 있습니다. 하지만 직접적인 호르몬 이상인 경우에는 플라시보 효과는 떨어지게 됩니다.
궁금증 해소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도움이 되신 경우 '👍 ' 눌러주길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