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다시봐도감미로운자라
다시봐도감미로운자라

친구를 자꾸 때리는 아이 어떻게 지도하면 좋을지 알려주세요

29개월인데 친구들이 잘못한 행동을 했다고 스스로 판단해서 그 친구를 때리는 모습을 보여요. 놀잇감 가지고 놀다 친구가 가져가면 쫓아가 때리려하거나, 제재시키면 친구를 때릴때까지 쫓아가는 행동을 보여요. 영상보다가도 갑자기 일어나 옆친구를 때리는 모습도 보여서 어떻게 부모와 이야기나누면 좋을지 알려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친구와 놀이 중 친구들이 자신에게 잘못을 했다 라는 생각으로 인하여

    친구를 때리는 행동은

    나의 물건을 건드렸다. 내 기분을 좋지 않게 했다 라는 감정이 울컥 올라오면서 그 감정을 언어로 전달함이

    미숙하여 행동으로 표현함이 커서 입니다.

    아이가 어떠한 이유로 친구를 때렸다 라고 한다면 그 영상을 함께 보면서 아이의 행동이 이러한 부분이 있다

    그렇기에 아이가 친구를 때리지 않고 자신의 감정을 언어로 전달 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어 아이가 친구를

    때리지 않도록 가정에서 지도를 바란다 라고 부모님께 잘 전달을 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선생님도 아이를 친구들이 보이지 않는 곳으로 데려가 단호함으로 친구를 때리는 행동은 옳지 않아

    기분이 좋지 않으면 친구를 때리지 말고 친구야 하지마. 안돼. 라고 말을 전달하고 친구가 계속 널 괴롭히거나

    너의 장난감을 뺏으면 선생님에게 도와주세요 라고 말을 하는 거야 라고 부드럽게 말을 전달해 주면서

    아이의 행동을 지도하여 주도록 하세요.

    원과 가정이 연계하여 아이의 행동이 올바르게 성장 되어질 수 있도록 아이의 행동을 잘 지도하여 주면

    좋을 것 같네요.

    1명 평가
  • 29개월 아이가 친구를 때리는 행동을 하니 걱정이 되겠습니다.

    29개월 아이가 친구를 때리는 행동을 보일 때, 부모와의 상담에서는 아이의 발달 특성과 감정 조절 능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시기의 아이는 언어 표현이 아직 충분히 발달하지 않아 자신의 감정이나 욕구를 말로 전달하기 어려워 신체적 행동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놀잇감을 빼앗기거나 제재를 받을 때, 불쾌한 감정을 즉각적으로 행동으로 옮기는 것은 충동 조절 능력이 아직 미숙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부모에게는 아이가 때리는 행동이 단순한 공격성이 아니라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이라는 점을 설명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긍정적인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림책이나 영상을 통해서 '감정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보는게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하고 다정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기분이 좋지 않을 때는 친구를 때리지 말고 너의 생각을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부모에게 아이의 공격 행동이 '상황 통제 욕구'나 '감정 표현 미숙'에서 비롯될 수 있음을 설명하세요. 때리는 행동은 즉시 멈추게 하되 '화가 났구나, 이렇게 말로 표현해보자'처럼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관된 기준으로 '때리면 안돼'라는 메시지를 주세요

  • 안녕하세요.

    먼저 부모님에게 아이가 때리는 것은 아직 감정을 말로 조절하기 어려워서 생기는 표현임을 알려 주세요. 친구가 마음에 들지 않았구나, 처럼 아이의 감정을 먼저 공감한 다음에 때리는 건 안 된다고 일관되게 제지해 주어야 합니다.

    아이가 원하는 걸 얻기 위해 때리는 경우, 원하는 결과를 주지 말고, 대신 "화났을 때는 이렇게 말해볼까?"처럼 대안 행동을 반복해서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부모님과는 때리기 전에 감정을 알아채고 중간에 개입하는 훈련과 친구와 잘 놀 때 충분히 칭찬해 주는 방법 두 가지에 대해 함께 이야기를 나누어 보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