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두번째공책
두번째공책

좌측하악골 관절장애 를 고칠 수 있나요?

나이
36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없음

어렸을때 턱 에서 딱딱 소리가 나고 아파서 병원을 갔었는데

그때 의사선생님이 생활에 큰지장 없으면 괜찮다고 해서

놔두고 살고서 36이 되었습니다.


최근에 갑자기 과자를 하나 씹어도 턱이 저린다거나 하는 느낌이 있습니다..

뼈가 아픈건지 근육이 아픈건지는 모르겠습니다.


혹시 어렸을때 아프던게 지금까지 이어져 온 거라면

엄청 오래됬는데 고칠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병관 의사입니다.


    턱관절의 문제로 소리가 날 수 있는데,, 말씀대로 크게 안불편하면 지켜봐도 되고 불편감이 심하면 구강외과 진료고려하시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턱관절 장애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턱관절 장애, 또는 악관절 장애로 알려진 이 질환은 턱관절과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를 포괄하는 용어입니다. 이 질환은 턱관절에서 통증이나 불편함, 입을 열고 닫는 데 어려움 등 다양한 증상을 포함합니다.

    턱관절 장애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음식을 오래 씹거나 악습적인 악무로 인한 것입니다. 또한 외상이나 스트레스 역시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이 질환의 주요 증상으로는 입을 벌릴 때 귀, 뺨, 또는 관자놀이 부위에서 통증을 느끼거나 "딱딱"한 소리가 날 수 있으며, 심하면 입을 벌릴 수 없거나 갑자기 입을 다물 수 없는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턱관절 장애를 진단하기 위해 교합 검사를 통해 어금니 맞물림을 확인하고, 방사선 사진 및 MRI를 통해 관절 상태나 뼈 조직의 이상을 평가하며, 근전도 검사를 통해 근육 긴장도를 측정합니다.

    턱관절 장애의 치료 방법은 다양합니다. 보존적인 치료 방법이 주로 사용되며, 이에는 약물 치료, 물리 치료, 교합 장치, 행동 요법, 운동 처방 등이 포함됩니다. 물리 치료에는 따뜻한 찜질, 초음파, 레이저 치료 등이 있으며, 교합 장치 치료는 턱을 안정된 위치에 두기 위해 입안에 장치를 착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약물 치료는 진통 및 염증을 완화하기 위해 진통제와 근이완제를 사용합니다.

    턱관절 장애를 오랫동안 방치하면 턱관절 염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턱의 비대칭과 입을 거의 벌리지 못하는 상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식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음식을 충분히 씹지 못하면 소화 불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턱관절 장애가 발생하면 입을 크게 벌리지 않도록 주의하고, 장시간의 긴장 상태를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치아 사이가 너무 멀리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하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통증이 있는 부위에 따뜻한 찜질을 적용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단단하고 질긴 음식을 피하는 것이 조언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관절에 대한 평가 및 근육에 대한 평가를 하여 필요한 치료를 받으시면 됩니다

    상황에 따라 완치 여부는 달라질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