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강점기 동안 한국의 독립 운동은 어떻게 전개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일제 강점기에 대해 궁금합니다.
일제강점기 동안 우리나라의 독립운동은
어떻게 진행이 되었는지,
독립운동과 그 역사적인 의미와 주요 인물에 대해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은 크게 실력양성론(안창호 선생 등), 무장투쟁론(김구, 김원봉 등), 외교론(이승만 등) 이렇게 크게 세 갈래로 이루어졌으며, 사실상 우리나라 국권을 되찾으려는 방법론이었따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의는 확실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일제 강점기 동안 전개된 독립운동은 크게 4개의 방향으로 전개되었습니다.
실력양성론(애국계몽운동)
대한제국기 1905년~1910년개화파의개혁론을 계승한 문명개화론자들의 국권회복운동.
1905년을사늑약이후 전개된 계몽운동은 국권회복과 근대국가 건설을 위해 애국의 기치 하에 결집하여 실력을 양성하도록 국민을 계몽하자는 운동입니다
2.무장투쟁론
계몽운동의실패와 일본의 강압정치에 대항하기위해 무장투쟁론이 발전하였습니다.
조선혁명군 (1925년)창설: 양세봉지휘하에 조선혁명군조직
조선의용대(1938년)창설: 대장김원봉과 조선민족혁명당의 주도로 한커우(漢口)에서 결성된 독립군
3.독립외교론
일제 강점기의 우리나라 독립운동의 한 방법으로 외교에 주력하여 국제여론을 조성하고 열강의 후원을 얻어 독립을 얻는다는 논리입니다.
실력양성론과 보완적인 관계에 있었고, 즉 실력양성론은 민족 내부에서 교육과 산업의 진흥으로 실력을 양성하여 국제정세의 변화에 따른 한국독립의 기회에 대비하자는 주장입니다.
4.민중혁명론
단제 신채호의 저서 조선 혁명론 에의한 즉 의 열단주장과같은 맥락입니다다소 무정부주의적 요소입니다.
독립을 위해서는 ‘철저한 비타협적 투쟁과 민중 중심으로 민중을 혁명의 본영’으로 규정하고 테러와 폭력을 인정하였고 이를통한 과격한 사회주의적 노선도 포함된 혁명론 입니다.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은 시기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910년 무단 통치 시기에는 국내 항일 비밀결사를 조직하고, 국외 독립 운동 기지를 건설하여 무장투쟁을 준비하였습니다. 1919년 3.1운동은 거족적 민족 운동 본격적인 독립운동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3.1운동 이후 국외에는 임시정부가 수립되고, 의열투쟁과 무장투쟁이 본격화되었습니다. 국내에서도 사회, 경제적 민족 운동이 다양한게 전개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실력양성운동, 노동운동, 농민운동, 여성운동, 학생운동 등이 그것입니다. 그러나 일제가 1931년 침략 전쟁을 본격화되면서 국내 민족 운동에 어려움에 봉착하고, 만주에서도 무장 투쟁에 어렵게 되었지만 중국의 임시정부는 애국단과 민족혁명당의 활약은 한중연합 작전과 통일 전선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940년대에는 일제의 패망이 가시화되면서 임시정부와 조선독립동맹, 건국동맹 등이 건국 준비 활동과 무장 투쟁을 체계적으로 전개합니다.